[뉴스초점] 뉴욕 고위급회담…폼페이오 “회담 진전 있어”

0:00 / 0:00

북한 청취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북한 관련 주요 뉴스를 자세히 살펴보고 짚어보는 RFA 뉴스초점입니다. 진행에 김진국입니다.

세기의 회담이라 불리는 미북정상회담의 성사 여부를 가릴 뉴욕 고위급회담이 31일 이틀 동안의 일정으로 마무리됐습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부 장관은 이날 오후 뉴욕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과의 회담에서 진전이 있었다면서 북한과 전세계가 비핵화로 인해 큰 이득을 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폼페이오 국무장관: 저와 김영철 부위원장은 지금 미국과 북한 두 나라에 주어진 다시 없는 기회를 활용해서 양국이 제시한 비전(청사진)을 실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김 부위원장은 워싱턴으로 가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친서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전달할 예정입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두 차례 북한을 방문해서 김정은 위원장과 대화를 했고 뉴욕을 방문한 김 위원장의 최측근인 김영철 부위원장과 다시 대화를 했다면서 연이은 북한 최고위 인사와의 회담에서 미국 정부는 일관된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는 메시지를 분명히 전달했다고 강조했습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일관된 입장이란 바로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한반도의 비핵화라는 것이라고 설명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또한 김정은 위원장이 만약 비핵화의 길을 택할 경우 북한에 밝은 길이 놓여있다고 강조한 바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

한편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북한과의 핵협상을 마무리하는데 두 번 이상의 회담이 필요할 수도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한번의 회담으로 (북핵 협상이) 끝나길 바라지만 대부분의 협상은 그렇게 되지 않는다"면서 "한번에 끝나지 않고 두, 세번의 회담이 될 가능성이 많다"고 이날 기자들과 만나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한 번의 회담으로 모든 것이 해결될 순 없습니다. 아마 두번째, 세번째 회담을 해야 할지도 모르고 아예 회담이 안 열릴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회담은) 차질없이 준비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과 단독 인터뷰를 한 영국의 로이터통신은 "핵무기 폐기를 설득하기 위한 미국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2차 정상회담이 필요하다는 말일 수도 있고, 낮은 단계의 실무회담이 더 많이 필요하다는 의미일 수도 있다"고 해석했습니다.

싱가포르 미북 정상회담을 성사 시키기 위한 미북대화는 뉴욕 뿐만 아니라 한반도 판문점에서도 이어졌습니다.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를 역임한 성 김 필리핀 주재 미국 대사가 이끄는 미국 협상단은 30일 마무리 될 예정이었던 판문점 사전협의 일정을 하루 연기한다고 밝혔습니다.

한국 외교부도 31일 판문점에서의 미북 간 사전협의가 여전히 진행 중이라는 점을 확인했습니다.

노규덕 외교부 대변인 : 판문점에서는 성 김 주필리핀 미국대사를 단장으로 하는 미국 대표단과 최선희 외무성 부상을 단장으로 하는 북측 대표단 간 정상회담 주요 내용에 대한 협의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역사적인 회담이 열릴 장소인 싱가포르에서도 미북 정상회담 개최 장소와 일정, 의전 등과 관련한 실무논의가 이틀째 이어졌습니다. 앞서 조 헤이긴 미국 백악관 부비서실장과 김창선 국무위원회 부장은 지난 30일 미국 실무협상단 숙소인 카펠라 호텔에서 4~5시간 가량 협의를 진행한 바 있습니다. 31일 진행된 협의도 카펠라 호텔에서 이뤄졌습니다. >

끝으로 북한 인권 관련 소식입니다.

미국 뉴욕에 본부를 둔 휴먼라이츠워치(Human Rights Watch)의 존 시프턴(John Sifton) 아시아국장은 30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핵을 비롯한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프로그램과 주민의 인권 유린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시프턴 국장: 우선 북한은 주민의 강제노역을 통해 군과 핵 프로그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주민의 강제노역으로 벌어들인 자금이 핵 프로그램 운영에 사용됩니다. 북한 주민에게 허용되지 않는 표현의 자유 등은 물론 생계유지비용 등 주민의 경제권까지 핵 프로그램을 위해 박탈당하고 있습니다.

RFA 뉴스초점,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지금까지 김진국이었습니다. 저는 다음 시간에 다시 찾아 뵙겠습니다. 안녕히 계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