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북한 관련 주요 뉴스를 자세히 살펴 보는 RFA 뉴스초점입니다. 진행에 홍알벗입니다.
문재인 한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19일 평양공동선언에 합의하고 핵무기와 핵 위협이 없는 한반도, 실질적인 전쟁위험 제거와 근본적인 적대관계의 해소를 약속했습니다. 김 위원장입니다.
김정은 위원장: 판문점 선언의 풍성한 수확을 안고 평양에서 세 번째로 만난 나와 문재인 대통령은 방금 역사적인 9월 평양공동선언에 서명하였습니다.
한반도 전 지역에서 전쟁을 일으킬 수 있는 모든 위협을 없애기로 하고, 남북 군사 공동위원회도 가동하기로 했습니다. 문 대통령입니다.
문재인 대통령: 남과 북한은 오늘 한반도 전 지역에서 전쟁을 일으킬 수 있는 모든 위협을 없애기로 합의했습니다. 남북 군사 공동위원회를 가동해 군사 분야 합의사항의 이행을 위한 상시적 협의를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북한의 비핵화 조치에도 진전된 합의를 이뤘습니다. 김 위원장이 직접 핵무기와 핵 위협이 없는 한반도를 강조했으며 전문가의 참관 하에 동창리 엔진 발사 시험장과 미사일 발사대를 영구적으로 폐기하기로 했습니다. 김 위원장과 문 대통령입니다.
김정은 위원장: 수십 년 세월 지속된 처절하고 비극적인 대결과 적대 역사를 끝장내기 위한 군사 분야 합의서를 채택했으며 조선반도를 핵무기도, 핵 위협도 없는 평화의 땅으로 만들기 위해 적극 노력해 나가기로 확약하였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남과 북은 처음으로 비핵화 방안도 합의했습니다. 매우 의미 있는 성과입니다. 북측은 동창리 엔진시험장과 미사일 발사대를 유관국의 전문가들을 참여하에 영구적으로 폐쇄하기로 했습니다. 또한 미국의 상응 조치에 따라 영변 핵시설의 영구 폐기와 같은 추가적 조치도 취해나가기로 했습니다.
정의용 한국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평양공동선언과 함께 이뤄진 남북 정상의 군사분야 합의는 사실상 남북 간 불가침 합의를 했다는 뜻이라며 남북의 군 통수권자들이 합의 이행의 의지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평가했습니다.
정의용 실장: 남북 정상의 의지가 남북 간의 군사적 긴장 완화, 또 전쟁 위협의 완전한 해소에 더 반영될 것입니다.
이번 평양공동선언에서 가장 눈길을 끈 것은 이른 시일 내에 김 위원장이 서울을 방문하기로 약속한 점입니다. 문 대통령은 김 위원장에게 서울 방문을 요청했으며 김 위원장이 이를 수락했다고 두 정상은 밝혔습니다. 북한의 최고지도자로서는 처음으로 서울을 방문하는 겁니다. 한국 청와대는 이번 평양공동선언이 실질적인 종전을 선언하고 남북이 공동 번영으로 가는 이정표를 제시했다고 평가했습니다.
하지만, 남북 정상이 평양공동선언을 통해 이룬 비핵화 합의에 대해 '진전된 합의'라는 평가와 북한의 진정성을 좀 더 의심해봐야 한다는 지적이 함께 나오고 있습니다. 김천식 전 통일부 차관은 이번 합의는 진전된 결과라고 평가하면서도 북한이 지금까지 본질적인 비핵화 조치를 취한 적이 없다는 점을 지적하며 신중하게 상황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평양공동선언을 계기로 사회문화 방면의 남북교류는 더 활성화 되겠지만 남북 경제협력이 어려운 상황에서 남북관계가 얼마나 더 발전될 수 있을지 의문도 제기했습니다. 김천식 전 차관입니다.
김천식 전 차관: 두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일단 일부 진전이 있었다고 봐야죠. 지난 판문점 선언에서는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원칙만 합의했는데 이번엔 구체적으로 미국이 상응하는 조치를 하면 영변 핵시설들을 해체하겠다고 했기 때문에 진전이 있었다고 봅니다. 하지만 핵문제에 대해서 본질적인 내용들은 아직도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9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인 트위터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최종 협상에 필요한 핵사찰에 허용하기로 합의했으며 전문가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핵실험장과 로켓 발사대를 영구히 해체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문재인 한국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평양공동선언을 발표한 지 약 1시간 만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으로 북한의 미사일 발사나 핵실험도 없을 것이라고 강조한 뒤 한국 전쟁에서 숨진 미군 유해도 계속 본국으로 송환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전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북한이 영변 핵시설 폐기의 조건으로 내건 '상응조치'와 관련해 "그(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가 무엇을 원하는지 지켜보자"며 "그 사이 우리는 계속 대화하고 있고 나와 그는 모두 침착하니 무슨 일이 있을지 보게 될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일본과 중국, 그리고 러시아 등 한반도 주변 국가들도 남북 정상회담에서 합의된 평양 공동선언을 환영했습니다. 일본 정부는 이번에 합의된 공동선언에 대해 "이번 합의에 이르기까지 남북 양 정상이 기울인 노력에 경의를 표한다"고 밝혔습니다. 중국과 러시아 정부도, 남북이 한반도 비핵화 추진을 위한 중요한 공동인식에 도달했으며 한반도 문제 해결 여정에서 그러한 실질적이고 효율적인 행보를 당연히 지지한다고 밝혔습니다
RFA 뉴스초점, 지금까지 홍알벗이었습니다. 저는 다음 시간에 다시 찾아 뵙겠습니다. 안녕히 계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