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녘 동포 여러분, 오늘 설명드릴 제1연평해전(第一延坪海戰)은 1999년 6월 15일에 서해바다 대한민국 수역에 위치한 섬인 연평도 인근 해역에서 남북한 해군 간에 발생했던 교전입니다. 이날 북한 해군 경비정이 먼저 연평도 서쪽 북방한계선(NLL)을 2km 침범한 것이 발단이 되었고 교전에서 북한 해군 경비정 1척 침몰, 5척이 파손되었으며 북한의 전사자 20명, 부상병 30명, 총 사상자 50명으로 북한 해군은 대한민국에 대패하였습니다.
북한군이 도발적인 제1연평해전을 일으킬 당시의 남북한 사이 교류협력은 다른 때보다 활성화 되어가던 시기였습니다. 그러는 한편 고난의 행군으로 체제붕괴위기에 몰린 북한의 현실을 직시한 김정일이 모든 잘못을 미국과 대한민국으로 돌리기 위해 대남도발을 어느 때보다 더 강하게 벌이던 시기였지만 1998년에는 대통령에 당선된 김대중 전 대한민국 대통령의 햇볕정책으로 대북화해협력정책이 추진되고 있었습니다.
대량아사로 주민들의 시체가 전국 어디서나 볼 수 있던 당시의 처참한 북한의 현실을 외면할 수 없었던 대한민국 정부와 국민들은 식량과 의약품 등을 지원했고 1998년 11월 18일에는 동해항을 출발한 한국 관광객들의 금강산 관광이 시작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금강산 관광 관련 협상이 한창 진행 중이던 1998년 6월, 동해 북방한계선 남쪽에서 작전을 수행하던 북한의 잠수정이 어선의 그물에 걸려 발각되는 사건이 발생하였습니다. 당시 인양된 잠수정 내부에서는 다수의 개인화기와 함께 사살된 9명의 시신이 발견되었고, 잠수정에는 어뢰발사기 2문이 장착되어 있었습니다. 대한민국 정부는 북한 잠수함 침입이 저들의 소행임을 인정한 북한에 승조원의 시신들을 판문점을 통해 송환하였습니다.
그런데 1998년 7월에는 강원도 동해시 부근에서 북한 무장간첩 시신이 침투용 장비와 함께 또 발견되었고 대한민국 정부는 유엔 안보리를 통해 북한에 대한 항의를 표시하였습니다. 그런데 북한은 자기들의 잘못을 진심으로 사과하고 재발방지 약속을 지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것을 한국의 날조라고 주장하면서 남측에 잠수정 사고에 대한 사죄를 요구하였습니다. 또 금강산 관광이 진행 중이던 11월에는 간첩선이 강화도 해안에 접근을 시도하다가 북한으로 귀환했고 12월에는 여수 앞바다에 침투하던 반잠수정이 격침되었으며 그 다음해인 1999년 6월 초부터는 경비정들을 연평도 부근의 북방한계선(NLL) 남쪽으로 연일 내려 보내서 긴장을 격화시켰습니다.
북한 해군은 자신들의 꽃게잡이 어선들을 보호한다는 미명 하에, 1999년 6월 7일 경비정 1척이 북방한계선(NLL)을 침범했고 그로 인해 해상교전이 발발한 6월 15일까지 9일간 총 11여 회에 걸쳐 대한민국 관할해역을 침범하였습니다. 대한민국 해군은 남북한 합의는 물론 국제법까지 유린하는 북한군 함정들에 신호를 보내 당장 철수할 것을 요구했고 북한 함정의 행위가 의도적이라고 분석, 판단하여 고속정들로 북한 함선들의 진입을 차단하기 위한 기동작전을 전개했습니다. 3일째 되던 6월 9일에는 북한이 경비정을 7척으로 증강하는 한편 경비정과 어뢰정 편대를 구성하여 북방한계선(NLL)을 13.7㎞까지 침범하며 도발의 수위를 높이자 대한민국 해군은 초계함 2척, 고속정 6개 편대를 현장에 투입하여 북한군의 도발에 대비하여 만반의 대비태세를 갖추었습니다.
6월 9일 새벽 6시부터 10일 새벽 4시 사이에 북방한계선을 침범한 북한 경비정 7척의 남침을 저지하려고 투입된 대한민국 고속정을 북한 경비정들은 충돌을 시도하면서 양측 함정들에 경미한 손상도 입게 되었습니다. 6월 11일 새벽 3시 35분부터 오후 1시 40분 사이에 북한 경비정 4척이 다시 대한민국 영해를 침범하면서 대한민국 고속정들을 충돌하려고 하였고 북한 해군의 도발적인 행위에 대해 대한민국 해군은 고속정과 초계함 10여 척을 동원하여 선체를 직접 충돌시키는 ‘밀어내기’로 북한 함정을 영내 밖으로 내보내려 하였습니다.
6월 15일 오전 9시경 북한 어뢰정 3척이 고속 남하하여 대한민국 초계함에 접근하자 대한민국 고속정 6척이 맞대응하여 역 충돌을 시도하였고 북한 경비정이 먼저 소총사격과 25mm 기관포를 발사하기 시작하였으며 추가로 증원된 3척의 경비정을 포함하여 총 10척의 북한 함정들이 대한민국 함정을 향해 공격해왔습니다. 북한 함정의 선제 기습공격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 해군은 북한 함정들을 향해 돌진하며 40mm와 75mm 기관포로 응사하여 교전이 일어난 지 14분여 만에 북한 함정을 격퇴하는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대한민국 국군은 교전이 발발한지 14분 만에 10척의 북한 함정들 중 어뢰정 1척을 침몰시키고 중형 경비정 1척 반침몰, 구잠함 1척 대파, 소형 경비정 2척 기관실 파손, 대형 경비정 1척 대파와 다수의 사상자를 발생시키는 큰 전과를 기록했습니다. 북한 함정들의 큰 피해에 비해 대한민국 해군의 피해는 4척의 고속정과 1척의 초계함 기관실 및 선체 일부가 파손되고 참수리급 고속정 325호 정장 안지영 대위를 비롯하여 승조원 9명이 부상을 입었습니다. 도발적인 대한민국 영해 침범으로 북한군 해군의 피해는 사망 20명, 부상자 30명으로 인적 피해를 당했으며 신흥급 어뢰정 1척과 청진급 중형 경비정 1척 등 2척이 침몰되었고 다른 경비정 3척도 크게 파손된 채 퇴각하였습니다.
제1연평해전 직후 1시간이 채 안 되어 판문점에서 열린 유엔군 사령부와 북한군 사이의 장성급 회담에서 북한 측은 한국 측이 먼저 도발을 해왔다는 억지 주장을 펴는가 하면, 더 나아가 북방한계선(NLL)이 국제법상 북한에서 12해리 이내이기 때문에 함정이 출동한 지역은 북한 영해라고 우겨대기도 했습니다. 먼저 기습적으로 포를 쏘기 시작하고도 연평도 해역에서 벌인 교전에서 일방적으로 패배한 북한의 주장은 회담에서 당연히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아무런 성과를 거두지 못한 채 회담은 끝났습니다.
1950년 6월 김일성의 한반도 공산적화를 위해 무모하게 벌인 6.25남침전쟁에서 침공을 시작했던 북한이 근 50년이 지난 1999년 6월에 다시 해상 침공을 벌였으나 또다시 참패를 당한 셈이었습니다. 김정일은 제1연평해전에서 북한 해군이 도발을 먼저 하고도 참패를 당하자 인민군 군 수뇌부를 대거 교체하고 한국 해군의 전술 교리를 연구하는 등 치밀하게 복수를 준비하도록 지시했습니다.
그리고 김정일은 제1연평해전 당시 85mm 전차포와 함교 뒷편 포좌에 장착된 4연장 고사총과 후갑판 및 주갑판에 있는 쌍열 기관포마저 심각하게 대파되어 모든 포가 사용불능이 된 채 퇴각한 684호를 개조하라는 지시를 내렸습니다. 북한 해군은 김정일의 지시로 함수의 포대를 견고히 개조하였고 인민군 해군 서해함대 제29해상저격여단 소속 78식 저격보총 담당 저격수와 88식 보총 담당 보총수, 73식 대대기관총 사수 및 부사수와 31식 60mm 박격포 사수와 탄약수들을 증원해 태우고 2차 연평해전을 준비하기 시작했습니다.
2002년에 또다시 도발적인 침공으로 발생한 제2연평해전은 다음 시간에 구체적으로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제1연평해전은 북한 해군의 사상자 숫자나 파괴된 함정의 숫자보다 북한과의 교전을 통해 기동력과 화력, 작전능력은 물론 장병 정신력도 대한민국 국군이 월등히 앞선다는 것을 실감하는 계기가 되었고 한국 군대는 싸우면 이긴다는 자신감을 얻게 되었습니다.
김정은은 선대들인 김일성과 김정일처럼 김씨 왕조 체제수호의 미명하에 북한의 청년들을 마구 대포밥으로 내몰아 희생케 하는 반인륜적인 행위를 더 이상 벌이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지금까지 탈북민 김주원이었습니다.
** 이 칼럼내용은 저희 자유아시아방송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김주원, 에디터 오중석,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