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 안녕하십니까 , 우리 생활과 친숙해진 과학과 기술을 알기 쉽게 풀어보는 <북한 IT와 과학기술> 시간입니다. 진행에 정영기잡니다.
세상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 더구나 요즘처럼 빠르게 진화하는 정보화 기술시대에 잠시 눈을 팔다가는 낙오자가 되기 쉬운데요.
이 시간에는 북한 김책공업종합대학에서 컴퓨터를 전공했던 김흥광 ' NK지식인연대 대표'와 함께 북한 주민들이 생소하게 느낄 수 있는 과학 기술 지식과 현 추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정영: 김흥광 대표님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는 구글맵에 살펴봤는데요. 오늘은 위성으로 길찾기라는 주제를 가지고 이야기를 좀 나눠보겠습니다. 혹시 여행하실 때 GPS를 사용하십니까,
김흥광: 당연히 사용하고 있습니다. 필수기계인데 운전자뿐아니라 여행자도 그렇고요. 가정에서도 그렇고 기관에서도 그렇고 여러가지 용도로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방금 여행할 때 GPS를 쓰는가고 물어보셨는데, 여행은 북한 형제들 경우에는 기차타고, 자동차를 타고 좋은데 갔다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는데요.
저희는 기차나 자동차를 가지고 하는 여행뿐아니라 자전거로도 많이 갑니다. 또 도보로도 많이 가고요. 이럴 때 GPS장비가 있으면 제가 여행하는 경로들, 그리고 자전거의 속도, 매 구간을 지나는 속도, 그것의 위치까지 보여주는데요.
제가 여행이 끝나면 어떤 길을 따라서 어떤 속도로 왔는지를 보는 것이 재미가 있어가지고 그것을 기록합니다. 그런 GPS장비는 예전에는 따로 판매되었지만, 지금은 휴대폰에 다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따로 갖추지 않고 있습니다.
정영: 휴대전화에 내장되어 있는 GPS장치에 대해서는 따로 말씀 나누기로 하고요. 먼저 GPS가 무엇인지에 대해 북한 청취자분들에게 알기쉽게 설명해주세요.
김흥광: GPS는 영문자인데요. G는 global, 전 지구라는 뜻이고, P는 positioning이라고 위치를 의미하는 것이고요. System이라는 것은 체계라는 소린데, 범지구적 위치측청체계라고 아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범지구적이라는 것은 지구 어느곳에 살든지 어느 위치에 있는가, 만일 내가 움직인다면 어떤 속도로 움직이는가, 그리고 시간은 몇시인가 하는 것들을 이 장치를 가지고 할 수 있거든요. 이 GPS 장치는 어느날 갑자기 나온 것은 아닙니다.
GPS시스템이 나온 역사를 보면 군사부분에서 미사일을 정확히 떨구기 위해서 미국방성이 개발한 것입니다. 1978년 경이었지만, 그전까지는 명중사격을 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단번에 많은 포탄과 미사일을 퍼붓는 융단폭격 방식이었습니다.
하지만, GPS장치가 나온 다음에는 단 한발을 쏴도 목표에 정확히 명중시키는 방식에 이용되었습니다. 그러다가 군사분야뿐아니라 산업분야에서도, 그리고 사람들이 쓰면 얼마나 효용성이 있을까 하는 의도에서 민간에 공개된 것입니다.
정영: 북한 청취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실례를 좀 들어보겠습니다. 우리가 외국영화를 볼 때 미사일이나 포탄이 쭉 날아가는 것이 보이지 않습니까. 그러면 미사일을 요격할 때 상대편 미사일이 점선으로 날아가다가 부딪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런 것들이 다 GPS의 도움으로 파악되는 것 아니겠습니까,
김흥광: 그렇지요. 아주 정확한 위치, 공간상의 정확한 위치를 말하는 거죠.
정영: 그러니까, 군사과학의 기술이 결국 민간으로 도입되었다고 봐도 되겠습니까,
김흥광: 재밌는게 있는데 이 GPS기술이 미국방성 독자 기술이 아니겠습니까, 그래도 미국은 전세계 인류가 같이 나누어 써야 하겠다고 해서 무료로 공개했습니다. 그런데 군사비밀이니까 오차가 좀 있게 공개됐어요. 1995년부터 상용되기 시작했는데, 그때는 오차가 100미터까지 있었습니다. 일반 민간에 쓰는 것은요.
하지만 클린턴 대통령이 그러지 말고 다 정확한 GSP를 쓰게 하라고 지시해서 정확한 것을 서비스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날에는 10미터내까지 아주 정확하게 표시해주는 중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정영: 저도 운전할 때 GPS를 쓰는데요. 고속도로를 따라가면서 몇번 출구로 나가면 뭐가 있고, 또 내 목적지를 예를 들어서 평양에서 청진까지 가는 거리를 찍어놓으면 화살표가 가면서 파랗게 가르쳐주더라구요.
김흥광: 땅 위에서 우리가 자동차를 몰 때도 전혀 초행길인데도 한번 가본적이 없는 길인데도 아주 정확히 목적지를 찾아갈 수 있도록 운전자를 도와주는데요. 하늘을 나는 비행기도 역시 날아갈 때 앞을 보면서 비행사가 이리저리 조종하는 것이 아니라 GPS 와 연결시켜놓으면 비행기는 자동항법장치에 의해서 자동으로 날아가거둔요. 그러니까 얼마나 발전했습니까,
정영: 예를 들어서 제가 워싱턴에서 뉴욕까지 가는 거리를 찍는다고 하면 제가 찍은 점이 하늘로 올라가서 위성과 연결되는 것 아니겠습니까,
김흥광: 그것에 대해 이야기 하자면 GPS 작동원리에 대해 이야기를 좀 해야 할 거 같은데요. 위성을 통해서 정확한 지구상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위성이 사실 기본적으로 3대는 하늘에 떠있어야 합니다. 약 2만6천킬로미터 상공에 있습니다. 그리고 보다 더 정확성을 위해서는 4대는 있어야 합니다.
그러면 우리가 지구상의 어떤 위치를 생각할 때 그 위성들은 서로 55도 각도로 배치되어 있는데, 거기서 오는 신호를 받으면 위치가 결정됩니다.
서로 다른 점에서 보내오는 신호를 종합해서 위치가 완전히 확정됩니다. 더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서 미국은 이 지구 궤도에 모두 24개를 쏴 올렸습니다. 현재 21개는 현역으로 뛰고 있고 3개는 예비로 계속 돌고 있습니다. 이 위성의 수명은 8년인데요. 8년에 하나씩 교체하면서 계속 돌고 있는겁니다.
제가 핸드폰에 GPS장치가 있는데, 이 GPS장치는 항상 위성이 보내오는 위치정보를 받아서 내가 움직이면 움직일 때마다 거리가 틀려지지 않겠습니까, 그런것들을 GPS수신기가 부지런히 받아서 계산을 해서 알려주는 겁니다.
정영: 10년전만해도 GPS장치가 나와서 사람들이 따로 구입하지 않았습니까. 그런데 지금은 손전화에 그것이 다 내장되어 있어서 손전화 하나만 있으면 지구상 어디나 다 갈 수 있는 시대가 됐습니다. 자, 궁금한 게 있는데요. 북한 운전수들에게는 GPS가 없지 않습니까, 그런데 어떻게 길을 찾아가는지요.
김흥광: 여전히 기술적으로 큰 변화가 없다면 일단 가는 길을 잘 알아야 겠지요. 육안으로 눈에 익어서 가는 방법이 가장 많이 쓰는 방법일 것이고요. 두번째는 지도를 쓰는 방법이 있을 것이고요. 그래도 북한사람들은 지금까지 다 그렇게 다녔으니까, 힘들어도 억지로 살아가는 겁니다.
정영: 제가 운전수 출신 탈북민에게 문의해봤는데요. 북한운전수들이 가다가 길을 모르면 “길을 좀 물어봅시다. 여기를 어떻게 가는지 아십니까”라고 문의한다고 합니다. 아마 지금도 같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김흥광: 그런데 북한에도 스마트폰을 보급하기 시작했는데요. 얼마전에 북한이 출시한 대양이라고 하는 태블릿 PC, 즉 판형컴퓨터를 봤더니 거기에는 길찾기라는 프로그램이 있었어요. 그러니까 북한도 역시 전세계 어떤 사람들이 GPS라면 모르는 사람이 없고, 거의 다 쓰는데, 유독 북한에서만 GPS라는 말도 모르고 그 기계가 주는 엄청한 혜택을 전혀 받지 못하고 있는 그런 미개국가로 계속 살 수 없으니까요. 그걸 도입하려고 하는 움직임을 보여서 저는 다행스럽게 생각되었습니다.
정영: 그렇군요. 자체 길찾기 기능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북한도 열려서 평양에서 워싱턴까지 가는데 자신의 위치가 나타나서 알면서 가는 그런 날이 빨리 왔으면 좋겠습니다.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김흥광: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