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주민도 손전화로 항공권 예약하기 바라”

0:00 / 0:00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우리 생활과 친숙해진 과학과 기술을 알기 쉽게 풀어보는 <북한 IT와 과학기술> 시간입니다. 진행에 정영입니다.

세상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더구나 요즘처럼 빠르게 진화하는 정보화 기술시대에 잠시 눈을 팔다가는 낙오자가 되기 쉬운데요.

이 시간에는 북한 김책공업종합대학에서 컴퓨터를 전공했던 김흥광 ‘NK지식인연대 대표’와 함께 북한 주민들이 생소하게 느낄 수 있는 과학 기술 지식과 현 추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정영: 김흥광 대표님 안녕하십니까, 지난 시간에는 북한에 최첨단 손전화 기술인 5세대 이동통신 기술을 도입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이야기 나누었습니다. 오늘은 계속하여 북한의 이동통신 기술 발전 전망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보겠습니다.

김흥광: 3세대 통신기반 시설을 꾸릴 때 잘 꾸려야 합니다. 북한 전지역 어느 곳에 살든지, 또 어떤 상황에서 전화를 받든지, 문자, 사진, 소리, 동영상, 만화 같은 웹튼, 이메일 이런 것들을 다 받을 수 있도록 필요한 곳에는 높은 안테나, 그리고 도심에서는 안테나를 낮게 놓아야 합니다.

그것을 설치하지 않는다면, 4G나 5 G로 갈 수 없습니다. 그래서 북한은 전국의 모든 도시, 어떤 지방, 도로, 산 위에서도 전화를 받을 수 있도록 안테나를 조밀하게 세우는 게 중요하고요. 4G나 5 G로 가기 위해서는 성능이 좋은 컴퓨터를 분산배치해야 합니다.

이게 다 컴퓨터들을 통해서 통신자료들이 처리됩니다. 그래서 중앙에 있는 컴퓨터들이 속도가 높아야 되고, 많은 컴퓨터들을 분산적으로 놓고 해야 합니다. 현재하는 식으로 중앙에 큰 컴퓨터를 하나 놓고 하다보면 가끔씩 막히는데, 청진에도 놓고, 함흥에도 놓고, 평성에도 놓고 해서 통신이 몰려드는 것을 분산시켜 전반적으로 속도를 높여야만 4G나 5G로 갈 수 있습니다.

일단 통신망이 깔려지고, 컴퓨터를 사들여오면4G나 5G기술단계로 가는 문제는 그리 어려운 문제는 아닙니다. 이미 개발된 기술을 도입하는 문제입니다. 그런데 초보적으로 깔려있지 않기 때문에 북한이 그걸 빨리 해야 합니다.

정영: 그러니 역시 돈에 관한 문제네요. 돈이 있어야 이런 기술을 받아들일 수 있는데 말이지요. 최근 김정은도 비핵화를 전제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서 대화를 하겠다고 나오는데 사실 미국과 잘 타결만 되면 미국, 남한, 일본도 그렇고 투자할 사람들이 많지 않겠습니까,

김흥광: 그렇지요. 중국 보십시오. 중국이 1970년초에 미국과 극도로 대립되어 있다가, 탁구선수들이 왔다갔다 하면서 미중 관계가 풀리기 시작해서 그때로부터 딱 15년 된 80년대 말이 되니까, 그렇게 헐벗고 무리 죽음이 나던 중국 사람들이 다 이밥 먹게 되었고요. 누구나 다 자기 땅을 가지고 되었고, 중국사람 들이 그리는 이상적인 삶을 건설하기 시작했지요. 그리고 오늘날 중국에는 엄청난 부자들이 많습니다. 아마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부자는 중국에 많다고 하더라구요.(웃음)

정영: 최근 발표된 억만장자 리스트, 즉 명단을 보니까, 세계적인 손꼽히는 억만장자가 미국에 580명 정도 있고요. 중국에 470명 정도가 있었습니다.

말이 난김에 최근 미국 경제전문지 포브스가 발표한 세계 억만장자 순서를 좀 알아보겠습니다.

지난 6일 포브스는 ‘2018년 세계 억만장자’ 명단을 공개했는데, 그중 세계적으로 돈이 가장 많은 사람은 세계 최대의 전자상거래 업체인 아마존의 제프 베이조스 회장이었습니다. 그의 재산은 1,120억 달러로 알려졌습니다.

현재 북한의 국민총생산(GDP)를 약 200억 달러 정도 보는데, 이 아마존 회장이 보유한 재산은 북한이 한해 생산하는 총액의 5배 이상 가지고 있다고 보시면 비교가 쉬울 것 같습니다.

지난해까지는 마이크로소프트(MS) 회장이 1위를 차지했지만, 이번에 900억 달러로 2등으로 밀린겁니다.

실례로 한국인으로서는 이건희 삼성 회장이 186억달러로 61위에 올랐는데요. 이 삼성은 스마트폰을 생산하고 이동통신 기술을 개발하는 세계 첨단 기업입니다. 현재 미국에는 억만 장자가 585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이어 중국 본토와 홍콩, 대만에 있는 억만장자는 476명을 기록했습니다.

김흥광: 그게 바로 등소평이 말한 선부론에 의해 만들어진 결과입니다. 등소평은 흰 고양이든, 검은 고양이든, 제대로 먹고 살면 된다. 선부론은 먼저 준비된 사람들부터 먼저 부자가 되자, 그래서 선부론이라고 하지 않습니까,

김흥광 대표님도 신의주 가셔서 1975~1980년대 그때 압록강 건너에 있는 중국땅을 보셨을 텐데요. 그때는 단층집에 호박이 누렇게 둥글둥글 매달려 있지 않았습니까, 그런데 30년만에 가난을 털고 세계 2등 부자 나라로 되지 않았습니까,

김흥광: 아직 중국 일반 국민들의 생활 수준은 남한 사람들 수준보다 못한데요. 하지만, 큰 나라다보니 부자들이 많은 겁니다.

정영: 누군가 이런 말을 했습니다. “스마트 폰은 몸에 붙어 있는 컴퓨터다”라고 말을 했습니다. 스마트폰에 대해서 자세히 말씀해주시죠.

김흥광: 저는 스마트 폰을 “나의 또 다른 작은 뇌이다”라고 말합니다. 우리가 뇌에 하려는 일정 계획을 다 기억해야 되지 않습니까, 우리가 생활하면서 제기되는 여러가지 생각이나 꼭 필요한 메모, 적기 같은 것들을 꼭 필요한 것들을 종이에 쓰고 있지 않습니까, 지금은 종이에 쓰는 사람은 별로 없고, 터치 하면 메모장이 나오니까,

저는 삼성 갤럭시 노트라고 쓰는데 거기에 펜이 달려 있습니다. 그 펜 가지고 자유롭게 종이에 쓰는 것처럼 휴대폰 위에 쓰거둔요. 딱딱 기록이 남습니다. 저는 어제도 영화를 봤는데, 영화관에서 줄을 서는 게 아니라 휴대폰에서 제일 가까운 영화관을 찾아서 뭘하는지 쭉 보고 가고 싶은 시간대를 누르면 바로 여기서 결제가 됩니다.

그리고 저는 상점 찾아다니면서 옷을 안 삽니다. 여기 쇼핑몰이라는 앱이 있는데, 거기서 아주 자세하게 사진을 보고 또 보면서 또 휴대폰 가지고 대학도 졸업합니다. 휴대폰으로 인터넷 강의를 듣는데, 교수님 강의를 듣고, 순 이것만 듣고 대학을 졸업하고요. 또 보고 싶은 책도 보고요. 이것 가지고 사주도 보고요. 북한 사람들은 요즘 이걸 아주 좋아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것 가지고 돈도 벌고요. 우리가 엄청 법니다. 요즘 비트코인이라고 미국이 제일 잘한다고 합니다. 주식도 하고요. 땅도 사고요. 그런데 제일 중요한 것은 저희가 혼자 사는 세상은 아니지 않습니까,

많은 사람들과 어울려 사는 데 그들과 즉시적이며 대량적으로 정보를 나누면서 함께 더불어 살기 때문에 정말로 휴대폰이라고 하는 것은 북한 형제들처럼 문자나, 통화나 하는 정도, 그리고 게임 좀 하거나 책을 읽는 정도가 아니라, 오늘날의 스마트폰은 정말 우리의 또 하나의 뇌이다라고 말할 수 있다고 봅니다.

정영: 중국이 30년만에 가난을 털고 세계 부자국가가 된 것처럼 북한도 빨리 통신기술을 발전시켜서 스마트폰으로 피자도 주문하고, 비행기 티켓도 주문하는 그런 날이 빨리 오기를 기대하면서 오늘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김 대표님 오늘 수고하셨습니다. 다음 시간에 다시 뵙겠습니다.

김흥광: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