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과 북한 인터넷 현황] ① 북한의 인터넷 주소와 도메인

0:00 / 0:00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우리 생활과 친숙해진 과학과 기술을 알기 쉽게 풀어보는 <북한 IT와 과학기술> 시간입니다. 진행에 정영입니다. 오늘도 현대 과학기술 지식에 관해 북한 김책공업종합대학에서 컴퓨터를 전공했던 김흥광 'NK지식인연대 대표'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진행자: 김흥광 박사님, 안녕하십니까,

김흥광 박사: 안녕하십니까,

진행자: 김흥광 박사님, 세계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진입했습니다. 비록 코로나 19로 인해 사람들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조심하고 있지만, 첨단 기술이 하루하루 발전하고, 지구촌 사람들이 집안에서도 세상을 접하고 있는 것은 인터넷 덕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북한은 아직 인터넷에 접속하지 못한 세계 유일한 국가로 알려졌습니다. 그래서 오늘부터 여러 차례 거쳐 인터넷이란 무엇이고, 북한의 인터넷 환경은 어떤지 총정리를 해보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김 박사님, 먼저 인터넷이란 무엇이고, 북한에는 인터넷 주소가 몇 개나 되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김흥광 박사: 네, 인터넷 주소란 무엇인지 말하기 전에, 인터넷이 무엇인지 먼저 말해야 할 것 같습니다. 인터넷이란, 지구촌의 모든 컴퓨터들이 즉 개인이나 국가나 단체의 컴퓨터들이 모두 선으로 연결되어 서로 자료를 주고받고 하면서 삶을 향유하고, 과학기술을 발전시키고, 문화도 향유하는 이런 하나의 거대한 가상 공간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이렇게 많은 컴퓨터가 어떻게 연결될까, 예를 들어 저는 중국에 사는 백 모씨의 컴퓨터와 연결하고 싶어요. 그럴 때 바로 그 사람의 위치, 컴퓨터들이 연결되어 있는 공간에서 그를 특정할 수 있는 위치, 이것을 인터넷 주소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우체국 주소와 비교해보면 이해가 쉽게 될 수 있는데요. 우리 집 우편 주소로 전세계 어디든 편지를 보낼 수 있습니다. 제가 살고 있는 위치를 주소로 나타낸 것이지요. 인터넷 주소도 마찬가지입니다.

진행자: 그러면 북한 사람들은 광명 컴퓨터망이라는 것을 많이 쓰는 것 같은데, 그것도 인터넷인가요?

김흥광 박사: 네 방금 말씀하신 광명망, 이것을 북한에서는 컴퓨터 통신망이라고 부르는 것 같은데요. 이것은 인터넷과 구조라든지, 운영방법에 있어서 비슷하지만, 좀 다릅니다. 이것을 인트라넷이라고 부릅니다. 북한에서는 이것을 이서네트라고 달리 부르는 것 같은데요.
사실 다 4촌지간 인데요. 엇비슷합니다. 다만, 북한의 인트라넷인 광명망은 한 나라, 한 지역, 한 기관 이렇게 제한된 범위에서 사용하는 폐쇄형 망이고요. 그러나 인터넷은 인터내셔널이기 때문에 전세계 모든 사람들, 모든 국가에 개방된 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광명 컴퓨터망에 있는 모든 과학기술자료나, 각종 자료들을 남한이나 일본, 미국에서는 볼 수 없습니다. 왜냐면 거기에 접속할 수 없으니까요. 하지만, 전세계에 인터넷에 있는 모든 자료들은 북한 주민들이 기술적으로는 누구든지 다 볼 수 있으나, 북한당국이 불허하기 때문에, 개방하지 않았기 때문에 볼 수 없는 것입니다. 그런 차이가 있습니다.

진행자: 그러면 나라마다 인터넷을 주소를 알아서 쓰면 되는데 왜 굳이 몇개인가를 따지는 가요?

김흥광 박사: 네, 그것은 전세계적으로 쓸 수 있는 인터넷의 주소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당초 인터넷을 개발할 때 정말 이렇게 많은 지구촌 사람들이 다 쓸 것이라고 생각하지 못했지요.
그래서 주소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나라들 마다 우리는 몇개를 쓰겠다, 앞으로 몇개를 쓸 예정이다 이렇게 등록한 것입니다. 인터넷의 주소가 매 컴퓨터마다 한 개씩 할당되기 때문에 지구촌의 모든 인터넷 주소의 총 개수를 알아야 효과적으로 관리되기 때문에 국제사회는 너희 나라는 인터넷 주소가 몇 개다 라는 등록 규정을 만들어 놓고 질서정연하게 쓰고 있습니다.
그런데 인터넷이 점점 발달해서 지구촌의 사람들은 그것이 없으면 도대체 생활이 이루어질 수 없습니다. 그리고 요즘 인공지능 시대에, 4차 산업혁명의 진전과 함께 우리 가정에서 쓰고 있는 대부분 전자제품들, 예를 들어 에어컨이나, 텔레비전이나, 세탁기나, 가스곤로(가스 레인지)까지 내가 집이 아니라, 전세계 어디 가든지, 우리 집의 에어컨을 끌 수도 있고 켤 수도 있는 것이지요.
그래서 인터넷주소의 수요가 아주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래서 지금 국제사회는 현존 인터넷 주소 체계를 바꾸어서, 새로운 인터넷 주소 체계가 지금 나왔는데, 적극적으로 실용화 시키기 위해 많은 시험도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앞으로는 인터넷 주소 개수가 몇개인지 걱정하지 않아도 나라들 마다 쓰고 싶은 만큼 등록해서 쓰면 될 것 같습니다.

진행자: 국가마다 자기의 고유한 인터넷 관리 공간, 즉 도메인을 쓰고 있다는데 그 인터넷 도메인이란 무엇입니까,

김흥광 박사: 앞에서 말씀드렸지만, 인터넷 주소라는 것은 모든 사람들이 접속하고 있는 컴퓨터를 구별하기 위해서 거기에 할당하는 하나의 주소체계라고 볼 수 있는데요. 편지의 주소와 같은 개념인데요. 예를 들어 평양시 중구역 연하동 41반 00아파트 5층 4호라고 되어 있듯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그리고 그 안에 평양시 이런 식으로 주소는 계층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서 최상위 주소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지요. 그리고 거기에 시의 주소가 있듯이 세부화 되어 있는데, 우리는 나라 주소를 도메인이라고 부릅니다. 영역이라는 소리지요. 북한의 인터넷 사용 영역, 또는 북한의 인터넷 사용 주소 영역을 도메인이라고 부릅니다.
이렇게 도메인으로 매 나라들 마다 구별하고, 거기다 특정하게 구별할 수 있는 번호를 매기는 것입니다. 대역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100부터 130번까지는 조선이다, 남한은 91번부터 99번까지다 이런 방법으로 구별합니다.
여기서 인터넷 주소를 들여다 보면 재미 있는데, 세자리 숫자로 된 마디가 네 마디가 있습니다. 이 마디는 모두 점으로 구분 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북한의 컴퓨터센터의 인터넷 주소는 아마 100. 100. 150. 0일것입니다. 여기서 맨 앞자리 4마디 중에서 맨 앞자리가 바로 국가 도메인입니다.
이 앞의 주소를 보고 아, 이게 어느 나라다 하고 알 수 있지요. 그러니까, 100. 하면 북한이라는 것을 알 수 있지요. 이런 식으로 국가별, 지역별, 분야별로 구별하여 도메인을 사용하게 됩니다.

진행자: 그러면 북한의 인터넷 주소 개수는 몇개나 됩니까,

김흥광 박사: 네 참 궁금하지요. 저도 얼마전까지 잘 몰랐습니다. 그래서 전세계에서 국가들의 인터넷 주소를 관리하는 아이칸(ICANN)이라고 하는 국제인터넷주소관리기구가 있습니다. 미국에 소재하고 있는데요. 홈페이지가 있습니다. 거기서 들어가서 나라마다 등록하고 쓰고 있는 인터넷 주소의 개수를 확인해보았습니다.
북한은 몇개나 등록했을 까요? 북한의 인터넷 개수는 2007년에 처음 등록할 당시1500개를 등록했습니다. 결국 북한은 국제인터넷망에 1500개의 기관이나 단체가 연결할 수 있는 것이지요.

진행자: 그렇군요. 북한의 인터넷 현황에 대한 설명을 듣다가 어느 덧 마감시간이 되었습니다. 다음 시간에도 계속하여 북한이 운영하는 인터넷 사이트의 특징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보겠습니다. "4차 산업혁명과 북한의 인터넷 현황" 첫번째 시간 "북한의 인터넷 주소와 도메인" 시간을 마칩니다. 오늘도 김흥광 박사님과 함께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김흥광 박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