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우리 생활과 친숙해진 과학과 기술을 알기 쉽게 풀어보는 <북한 IT와 과학기술> 시간입니다. 진행에 정영입니다.
오늘도 현대인들의 생활에 필수적인 가정용 전자제품들에 관해 북한 김책공업종합대학에서 컴퓨터를 전공했던 김흥광 ‘NK지식인연대 대표’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진행자: 김흥광 대표님 안녕하십니까, 지난 시간에는 대표님이 한국에 처음 나왔을 때 세탁기를 구입한 사연에 대해 들어보았는데요. 그러면 북한의 잘사는 가정들은 어떤 세탁기를 쓰고 있습니까,
김흥광: 2004년, 그때는 지금 말하는 원통형 세탁기일겁니다. 위에서 세탁물을 집어 넣거둔요. 한국 말로는 통돌이라고 하는데, 북한에서는 원통형 세탁기라고 하지요. 위로 넣습니다.
하지만, 요즘 대부분 세탁기들은 다 옆으로 넣습니다. 원리적 차이는 좀 있지만, 그런 것들이 위주였지요. 그리고 원통식이든 드럼식이든 지금은 북한에서 잘 사는 집들에 가보면 세탁기가 언뜻언뜻 보일것이라고 생각합니다만, 2004년만해도 냉장고가 있는 집은 좀 있었어도, 세탁기가 있는 집은 드물었습니다. 정말 몇집 없었습니다.
왜냐면 워낙 전기를 많이 잡아 먹고 그리고 또 사람들이 “야, 그거 뭐 여자가 되어가지고 빨래 하기 싫어서 기계에다 하는가? 기계에다 하는 것은 깨끗하지 못하다” 그랬거둔요.
그래서 쓰는 것을 기피했고, 그런데 사실은 세탁기로 제대로 빨래를 깨끗하게 하기 위해서는 세제가 좋아야 하고, 그리고 섬유 유연제 라는 것도 있어서, 필요한 것을 다 갖추고 써야 세탁기가 되는 것이지. 그냥 기계라고 해서 집어 넣으면 다 되는 것은 아니거둔요. 지금은 (북한도)좀 많이 다를 것입니다.
진행자: 제가 북한에 있을 때 어떤 생각을 했냐면, 소련에 들어갔다가 나오는 재소생, 즉 임업노동자들이 러시아에 약 3년씩 노동을 하고 나올 때 가루 비누를 가지고 나왔습니다. 그것을 장마당에서 구입해가지고 생각한 것은 그냥 고체비누를 쓰면 되지, 왜 소련에서는 가루로 만들어서 파냐고 했는데, 그게 바로 세탁기용 가루 비누였습니다. 그 가루비누는 세탁기용으로만 쓰게 되어있는데, 그걸 몰랐으니까, 그것을 빨래를 할 때 풀어서 썼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러면 북한의 고위 간부들, 그리고 돈이 좀 있는 돈주들은 세탁기를 쓰고 있다는 것인데요. 그래도 남한 세탁기를 쓰지 못할 것 같습니다. 그 남조선 세탁기와 중국 세탁기를 좀 비교해주시죠.
김흥광: 요즘 남쪽 세탁기는 너무 빨리 발전해서요. 제가 대학에서 전자공학을 전공했고, 오랫동안 컴퓨터와 씨름하던 사람인데도 불구하고, 저도 깜짝 놀랄때가 있습니다.
제가 세탁기를 사러 매장에 가본적이 있었습니다. 쓴 지 한 10년 정도 되어서 이젠 새것을 좀 쓰자고 매장에 가본 적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세탁기의 기능이 말이지요. 이전에 없던 기능들이 하루밤 자고 나면 생기니까, 참 난감하더라구요. 바로 이런 겁니다. 지금 한창 빨래를 넣어서 돌아가고 있는데, 갑자기 손수건을 하나 더 집어 넣고 싶어요. 그러면 어떻게 합니까, 세탁기를 세우고, 큰 뚜겅을 열고 다시 집어 넣어야 하는데, 그렇게 하지 않습니다.
또 그리고 주부들의 경우에는 어떤 습관이 붙었냐면 빨래를 손으로 다 하지 않지만, 아주 미세한 얼룩을 못 지울 수 있습니다. 그게 근심이 되면 젊은 부인들, 그런 사람들은 손으로 세탁물을 좀 만져서 빨래를 어느 정도 한 다음에 그걸 세탁기에 넣어서 돌리고 싶어요. 그 손세탁을 대강하는 것은 다른 세면기에서 하고 그 다음에 그걸 세탁기에 넣는다고 하면 사람들이 불편해 하거둔요. 그래서 그런 속마음까지 알아져가지고 세탁기에서 그대로 손으로 초벌 빨래도 다 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됐고요. 그뿐이 아닙니다.
세탁기 기능중에는 더운물로 할 것인가, 찬물로 할 것인가, 또 그 몇도에서 마지막 세탁물을 말리워 줄 것인가, 어떻게 마감처리를 할 수 있는지, 그런 것을 다 지령할 수 있고요.
진행자: 네 그런 세탁기는 보통 세트로 나옵니다. 저도 LG제품을 쓰는데, 하나는 드럼식으로 빨고, 다 빤 것을 꺼내서 말림통에 집어 넣고 스위치를 누르면 한 40분 정도면 다 말리워 지거둔요. 거기에 뭘 넣냐면, 섬유를 부드럽게 하는, 또 향이 나는 섬유조각을 넣는데, 빨래를 꺼냈을 때 굉장히 냄새가 좋고, 그렇습니다. 여기 미국까지도 그런 남한의 LG 세탁기가 많이 나왔습니다. 혹시 남쪽에서 제일 이름있는 세탁기를 몇가지 좀 소개해주시겠습니까,
김흥광: 제일 아마 잘 팔리고, 잘 만들고 그래서 잘 알려진 세탁기는 당연히 두축인데, 하나는 삼성 세탁기이고, 다른 하나는 LG세탁기이고요. 여기에 크고작은 세탁기 공장이 있습니다.
이 공장에서 나오는 세탁기가 한국에서 최고, 세계에서 최고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방금 이야기 한 것처럼 삼성이나 LG는 세계적인 세탁기 공장을 주도하는 회사들인데요.
요즘 나오는 세탁기에는 인공지능 기능까지 들어가 있습니다. 인공지능이 들어가면 어떻게 되냐면, 일단 세탁기가 사람이 처음 조작할 때 학습합니다. 묵묵히 기억합니다. 예를 들어 이 세탁물이 몇그람일 때는 이렇게 하고, 저런 세탁물일 때는 몇그람이고, 우리 주인이 30분 정도 세탁하더라, 그러면 그것을 기억합니다.
다음 경우에 좀 무거운 이불을 빨래 할때는 우리 주인은 50분 정도 빨래하더라, 그러면 이런 것도 기억합니다. 이렇게 되면 세탁물의 형태와 그램수와 재질 등 다 알아가지고 사람보다 더 정확하게 세탁시간과 예비세탁시간, 거기다, 더운물을 쓸 것인가, 찬물을 쓸 것인가, 다 결정합니다. 그리고 학습한단 말입니다. 쓰면 쓸수록 더 똑똑해지는 이런 세탁기를 만들어내는 데 이게 보통 재간이 아닙니다. 이게 세계 최고입니다.
진행자: 저도 세탁기를 사용할 때는 대체로 손가락으로 조절합니다. 면옷이다, 파카 동복이다, 이렇게 지정해야 기계가 돌아가는 데, 대표님이 이야기 한 인공지능 세탁기는 컴퓨터가 세탁기에 장착되어서 사람은 세제만 넣으면 자기가 알아서 다 돌아간다는 말씀이지요.
김흥광: 그렇지요.
진행자: 네, 오늘은 북한에서 사용하는 세탁기의 종류와 그리고 남한의 전자회사들이 만드는 세탁기가 전세계의 세탁기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는 소식 전해드렸습니다. 다음 시간에도 계속 해서 오늘 다하지 못한 세탁기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