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은어와 유머를 통해 북한사회를 이해하는 '김광진의 대동강 이야기,'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연구위원 김광진씨가 전해드립니다.
친애하는 북한의 청취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한반도정세가 급변하고 있습니다. 김정은신년사에서 평창동계올림픽 참가를 공식선언하면서 급진전되기 시작한 남북 대화분위기가 지금은 순식간에 들불처럼 번져 4월 말 판문점 평화의 집에서의 3차 남북정상회담, 5월 중 미 트럼프 대통령과의 미북정상회담까지 합의하는 특보를 연이어 생산해 내고 있습니다. 북한 관영매체는 이에 대해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내보내지 않고 있죠. 심지어 조총련이 운영하는 조선신보는 미북정상회담 합의에 대한 기사를 사이트에서 내렸다고 합니다.
아마도 '조국통일의 보검', '조선반도의 평화와 정의를 담보하는 핵 보검'으로 지금까지 나라의 명운을 걸고 개발해 온, 그리고 작년 말 핵 무력 완성까지 선포한 마당에서 갑자기 이 핵을 내려놓는 미국과의 정상회담을 개최한다고 하니 이것을 북한주민들에게 선뜻 알리기 힘들겠죠.
어쨌든 김정은의 여동생 김여정의 평창올림픽 참가와 특사자격으로의 방남, 뒤를 이은 남한의 대통령 특사단 평양방문, 미국 워싱턴 방문과 트럼프 미 대통령과의 면담 등 전광석화처럼 중차대한 역사적 사건들이 연이어 펼쳐지고 있습니다.
남한 특사단은 이어 중국과 일본을 방문하고 있으며 두 나라 지도자들에게 방북결과, 김정은과의 면담내용, 트럼프대통령과의 미북정상회담 합의사항에 대해 설명하고 그들의 조언을 듣고 있습니다. 또한 곧 러시아도 방문할 예정이고요.
누구도 쉽게 믿을 수 없고 생각지도 못한 미북정상회담 성사소식에 전 세계가 깜짝 놀라고 있습니다. 그리고 당연히 나라마다 생각과 해석이 다르죠.
중국은 북한에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고, 이번 북핵해결의 견인차인 대북제재의 대부분을 걸머쥔 가장 중요한 나라입니다. 그런데 얼마 전 시진핑주석의 특사로 평양을 방문한 쑹타오 공산당 대외연락부장은 김정은을 접견도 하지 못하고 돌아왔고, 이번 미북정상회담 합의도 중국과의 조율 없이 갑자기 터진 사건이니 중국으로서는 대북영향력에서 소외되는 것 아닌가 라는 논란이 있습니다.
그러나 미중정상사이 통화에서도 알 수 있듯이 시진핑 주석은 한반도 비핵화가 우선이다, 한반도 평화안정이 중요하다, 대화와 협상을 통해서 미북사이 핵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중국의 시종일관한 방침이라고 밝혀 현재 진행 중인 사항이 중국의 이익에 부합함을 다시 한 번 확인하였습니다.
일본도 재팬 패싱을 우려하면서 매우 바빠하고 있는데요, 북핵위협을 전제로 아베 총리는 국내정치적으로 큰 성과를 올리고 있으며 군사화, 최신무기도입에도 박차를 가해왔는데 여기에 차질이 생길까 걱정하고 있죠. 또한 동북아의 가장 중요한 이수해결에서 일본이 소외되는 것도 걱정하고 있습니다.
이 와중에 북한은 얼마 전 새로 만든 기록영화를 내보냈죠. '어머니당의 품 제5부-충정의 한길에 삶은 빛난다. 강석주 편'입니다.
영화는 강석주를 '1990년대 초부터 반미 핵대결전을 승리에로 이끄시는 위대한 장군님(김정일)의 천재적인 외교지략과 탁월한 영도를 실현하는 전초선에서 활약했다'고 소개했습니다.
북한에서는 외교를 '총포성 없는 전쟁'이라고 표현하죠. 외교관들은 '당과 수령의 외교사상을 실천하는 외교전사'라고도 합니다. 총포성 없는 전쟁에 직접 뛰어든 김정은, 이번 미북정상회담에서 과연 어떤 결과물을 만들어 낼까요? '대동강이야기'의 김광진이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