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 계신 청취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북한을 중심으로 미국과 한국 등 국제사회에서 일어난 일들을 통해 북한의 정치와 경제, 사회를 엿보고 흐름과 의미를 살펴보는 노정민의 <라디오 세상> 시간입니다.
노정민의 <라디오 세상>, 오늘의 초점으로 시작합니다.
<오늘의 초점>
"제가 최근에 듣기에는 함경북도나 함경남도 등 생활이 어려운 지역의 주민은 '김정남 씨가 경제를 잘 아니까 그 사람에게 중요한 일을 맡기면 어떻겠냐?'라는 말도 있다고 합니다."
"김정남 씨는 스위스에서 귀국한 후 계속 개방개혁을 주장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아버지하고 많이 싸웠는데, 개혁개방이 필요하다는 것은 김정남 씨의 포기할 수 없는 신념이라고 합니다."
고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첫째 아들 김정남. 일본 '도쿄신문'의 고미 요지 기자가 2004년부터 7년간 김정남과 150여 통의 전자우편을 주고받고, 직접 두 차례나 만나 북한에 대한 그의 솔직한 생각을 들어봤는데요, 경제적 개방개혁 주장, 3대 세습 반대, 김정은 체제에 대한 우려 등 현 북한체제에 대한 비판과 함께 아버지에 대한 사랑과 지독한 외로움 등 '비운의 황태자'로서 그의 다양한 면모를 찾아볼 수 있었습니다.
'언제든지 전화나 인터넷 등으로 다른 사람과 접속하고 싶다', '그렇지 않으면 외로움을 견딜 수 없다'는 성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김정남은 북한에 대해 어떤 생각을 하고 있을까? 김정남의 근황과 앞으로의 역할은 무엇일까? 등을 고미 요지 기자를 통해 두 차례에 걸쳐 살펴보겠습니다.
오늘 첫 번째 순서, 시작합니다.
- 함경도 주민, '김정남이 경제를 잘 아니까 중요한 일을 맡기면 어떻겠냐?'
- 중국 관광객 평양에서 김정남 소개, 김정남에 대한 인식 새롭게
- 국경지대에는 김정남에 대한 소문 많아
- 김정남, 특별히 생활고나 신변안전의 위협 겪는 것 같지 않아
- 아버지에 대한 정 있었지만 외로운 사람, 개혁개방은 포기할 수 없는 신념
고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첫째 아들 김정남. 많은 사람에게 '비운의 황태자'로 불리는 그는 북한이 아닌 중국 북경과 마카오에 머물며 자유로운 외국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또 최근에는 북한의 3대 세습과 동생인 김정은 제1비서에 대해 비판하고 중국식 개방개혁을 주장했다는 그의 발언이 세상에 알려지면서 김정남의 생각과 행보가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일본의 '도교신문'의 고미 요지 기자는 2004년 9월, 중국의 북경 공항에서 우연히 김정남을 만난 이후 7년간 전자우편을 주고받고 두 차례나 직접 만나 그의 생각과 말을 들었습니다. 그리고 북한에 대한 김정남의 생각은 지난 1월 책으로 출간됐는데요, 일본어와 한국어는 물론, 영어와 중국어로도 번역됐습니다.
RFA, 자유아시아방송은 지난 8일, 김정남을 직접 만나고 오랫동안 그와 인연을 맺은 고미 요지 기자와 대화를 나눴는데요, 자연스럽게 김정남의 요즘 근황으로 이야기를 시작했습니다.
- 고미 요지 기자님, 연락이 늦었습니다. 최근에 김정남 씨가 돈이 떨어져 생활고를 겪고 있고, 북한 당국으로부터 신변의 위협까지 겪는다는 보도가 있었습니다. 직접 김정남 씨를 만나보셨던 당사자로서 어떻게 생각하세요?
[고미 요지] 네. 김정남 씨는 자신이 중국에 있을 때 중국 당국자와 공안들이 자신을 보호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래서 중국에 있는 한 그런 위험은 크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김정남 씨가) 중요한 인물이니까 어떤 일이 생길지 모르겠지만 지금으로서는 그다지 생활이 힘들거나 신변의 위험이 있다는 말은 듣지 못했습니다.
- 최근에 김정남 씨가 평양을 방문했다는 보도도 있었습니다.
[고미 요지] 네. 저도 자세한 증거는 없지만, 일본에서 김정남 씨와 친한 분들의 말을 들어보면 "5월에 평양에 갔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고 말하는 분이 많더라고요. 김정은 제1비서는 잘 모르겠지만, 장성택 씨와는 좋은 관계를 맺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최근 한국 언론에 따르면 김정남은 지난 3월, 고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탈상을 위해 북한 평양을 방문했고, 지난 5월에도 북한을 찾아 장성택 국방위원회 부위원장과 최측근을 만났다고 한국의 동아일보가 보도한 바 있습니다.
특히 김정남은 젊은 시절 스위스에서 유학한 뒤 북한에 돌아와 북한의 중국식 개방개혁을 계속 주장해 왔습니다. 무엇보다 개방개혁은 김정남의 포기할 수 없는 신념이었는데요, 고미 기자는 북한의 발전에 관한 김정남의 역할을 조심스럽게 전망합니다.
- 북한 내부에 김정남 씨를 지지하는 세력이 있을 것이라고 말씀하신 바 있습니다. 앞으로 김정남 씨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을까요?
[고미 요지] 개인적으로는 김정남 씨가 평양에 들어가 중요한 역할을 맡아 경제개혁을 추진하면 좋을 것으로 생각하지만, 김정남 씨는 어렸을 때부터 거의 혼자 살았고 오랫동안 해외 생활을 했기 때문에 오히려 평양에 가는 것이 어색하다고 합니다. 어렸을 때 느꼈던 고독과 외로움 때문에 (북한에) 가고 싶지 않다고 했는데요, 하지만 해외에 인맥도 있고 중국에서도 간부들과 잘 어울린다고 합니다. 김정남 씨가 인맥을 잘 활용하면 앞으로 북한의 발전에 할 일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 김정남 씨가 외부에서도 할 일이 많을 것이라는 말씀이시군요.
[고미 요지] 네. 그런 것에 대한 기대도 있지만, 특히 장성택 부위원장에게 중요한 역할을 부탁할 일도 있을 것 같습니다. 또 고위인사들 가운데 김정남 씨를 지지하는 사람이 거의 없다고 하지만 젊은 세대들, 특히 북한 정부에서 일하는 젊은 세대들 가운데 김정남 씨에 대해 기대감을 가진 사람이 있습니다. 제가 최근에 듣기에는 함경북도나 함경남도 등 생활이 어려운 지역의 주민은 '김정남 씨가 경제를 잘 아니까 그 사람에게 중요한 일을 맡기면 어떻겠느냐?' 라는 말도 있다고 합니다.
- 그렇다면 북한 내부의 사람들이 김정남 씨의 존재에 대해서 잘 안다고 말할 수 있나요?
[고미 요지] 많은 사람이 잘 안다고 할 수는 없지만 제 책의 내용을 알게 된 중국의 관광객들이 평양에 가서 그런 말을 많이 했다고 합니다. "김정일 위원장의 큰아들이 이런 사람이고, 이같은 방황을 하고 있다." 그래서 다시 김정남 씨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한 사람도 있고요, 국경지역에는 원래 정보가 많으니까 김정남 씨에 대한 소문이 많다고 합니다.
- 긍정적인 소문이겠군요.
[고미 요지] 기대하는 사람들이죠. 김정남 씨에게 제가 몇 번이나 물어봤어요. '아무래도 장남이니까 동생이 부탁하면 평양에 들어가서 도울 생각이 없느냐?'라고. 그러니까 김정남 씨는 '충분히 있다. 언제든지 갈 수 있다. 다만 생활기반은 마카오나 북경이니까 기본적으로는 해외에서 살고 싶다'고 말하더군요.
김정남의 생모는 북한 최고의 여배우였던 고 성혜림입니다. 하지만 이후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김정은 제1비서의 생모인 고 고영희와 사랑하게 되는데요, 이후 성혜림은 정신적인 우울증에 시달리다 러시아에서 숨을 거둡니다. 김정남은 고영희에 대해 어떤 마음을 갖고 있을까요?
- 최근 김정은 제1비서의 생모인 고영희 씨에 대한 기록영화가 공개됐는데요, 김정남 씨는 고영희의 존재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고 있던가요?
[고미 요지] 저도 김정남 씨와 북한에 관한 이야기를 많이 했는데 고영희 씨에 대한 역사나 비판에 대해서는 들어본 적이 없습니다. 아주 조심스러워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김정남 씨의 개인적인 의견은 못 들었습니다. (고영희 씨를)만난 적이 없었던 것 같습니다. 한 번도 이야기를 하지 않은 것을 보면 마음속에 착잡한 감정이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고미 기자에 따르면 김정남은 개방개혁과 관련해 아버지인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크게 다퉜습니다. 그가 유학을 끝내고 북한에 돌아와 현지지도를 하면서 김 위원장에게 "경제를 개방하지 않으면 발전이 없다"며 조언을 했지만 돌아온 것은 "네가 언제부터 자본주의를 지지했느냐?"는 질책이었습니다. 이처럼 아버지와 너무나 다른 생각, 버림받은 어머니에 대한 상처, 하지만,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김정남 사이에는 아버지와 아들의 감정이 살아있었다고 고미 기자는 설명하는데요,
- 그렇다면 김정남 씨는 아버지인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통치 스타일이나 행보에 대해서 불만이 많았나요? 어떻게 생각하던가요?
[고미 요지] 김정남 씨는 스위스에서 귀국한 후 계속 개방개혁을 주장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아버지하고 많이 싸웠는데, 개혁개방이 필요하다는 것은 김정남 씨의 포기할 수 없는 신념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변함이 없는데, 아버지하고 의견이 달랐다는 거죠. 그런데 김정일 국방위원장과는 아버지와 아들의 감정이 살아있었습니다. 자신의 생일이나 중요한 날, 또는 명절이 되면 아버지에게 전화도 오고... 만나기는 힘들었지만, 전화통화는 자주 했다고 합니다.
- 그러고 보면 김정남 씨가 인간적으로 외로운 사람이던가요?
[고미 요지] 예를 들면 김정남 씨에게 취미가 뭐냐고 물었더니 게임이라고 했어요. 컴퓨터 게임으로 이해를 해서 어떤 게임이냐고 물었더니 인터넷으로 하는 네트워크 게임이라고 하더군요. 왜냐하면, 전 세계 사람과 만나서 즐길 수 있고, 새로운 친구를 알게 된다는 거죠. 김정남 씨가 갖고 있는 휴대전화에 문자가 수없이 들어옵니다. 만나는 중간에도 몇 번이나 들어오고...다들 김정남 씨의 친구래요. '언제든지 전화나 인터넷 등으로 다른 사람과 접속하고 싶다', '그렇지 않으면 외로움을 견딜 수 없다'는 성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부모님과 아주 외롭게 떨어져 있었으니까요.
김정남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숨진 것에 대해 매우 큰 충격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래서 얼마 동안은 사람들과 대화도 하지 않았다고 하는데요,
고미 기자는 김정남과 직접 만나고 7년간 전자우편을 주고받으면서 그에 대한 인간적인 면을 많이 볼 수 있었다고 회상합니다. 일본 사람에게 김정남은, 2001년 위조여권으로 일본에 불법 입국을 시도하다 체포된 모습이 생생하게 남아 있지만 고미 기자가 그를 직접 만나보니 예의도 바르고, 국제 사정에 능통한데다 여러 가지 많은 공부를 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또 스스로 문제점을 파악하고 고치려는 노력의 모습도 엿볼 수 있었는데요,
고미 기자는 김정남과 대화를 소개한 자신의 책에서 독자들이 북한을 비판한 김정남의 발언보다 인간성에 관한 부분을 가장 인상적으로 읽었다고 말합니다.
북한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북한을 변화시키려 했던 김정남의 면모를 다시 보게 된 건데요,
노정민의 <라디오 세상>, 다음 시간에는 김정남이 고미 요지 기자에게 밝힌 북한의 정치와 경제, 김정은 제1비서와 3대 세습에 관한 생각을 전해 드리겠습니다.
노정민의 <라디오 세상>, 오늘 순서는 여기서 마칩니다. 지금까지 진행에 RFA 자유아시아방송, 노정민입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