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칼라튜] 유네스코가 인정한 아리랑

0:00 / 0:00

최근 북한의 아리랑이 유네스코, 즉 국제 연합 교육 과학 문화 기구로부터 인류무형유산으로 인정받았습니다. 한국의 아리랑은 2년전인 2012년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했습니다. 전문가들에 의하면 한국의 아리랑과 북한의 아리랑은 차이가 있어 따로 분류되어 인정을 받았다고 합니다. 북한의 인류무형유산이 등재되는 것은 처음이지만, 북한의 역사적 유물은 과거에도 인정을 받았습니다.

남북한의 역사는 1만여 년이 되며 남북한의 문화와 역사적 유물은 한민족의 유산뿐만 아니라, 온 인류의 헤아릴 수 없는 귀중한 유산입니다. 따라서 북한의 고구려 고분, 한국의 강화도 고인돌, 경주의 불국사, 석굴암, 도산서원은 유네스코로부터 세계 문화 유산으로 인정을 받았습니다.

북한에서 '로므니아'라 불리는 루마니아도 남북한처럼 오래된 역사를 가진 나라입니다. 또 루마니아는 남북한처럼 몇 천년 동안 주변에 둘러싸인 강대국들의 침략을 당하면서도 민족성과 민족의 문화를 유지하여 계속 그 문화를 발전시켜 왔습니다. 그래서 루마니아의 문화유산과 역사적 유물들은 남북한처럼 루마니아 사람들의 유산뿐만 아니라, 유럽, 또는 온 세계의 유산이라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불행히도 1947년부터 1989년까지 공산주의 시대 때 루마니아의 정부 기관은 루마니아의 문화와 역사, 특히 고고학 유산에 대해 신경을 많이 쓰지 않았습니다. 루마니아의 역사적 유물들인 구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 고대 로마와 그리스 도시국가로부터 중세시대에 이르기까지 요새와 매력적인 희랍 정교회 교회와 수도원들은 유럽에서 유일한 유산입니다.

루마니아 고고학자들은 공산주의 시대에 월급을 많이 받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일을 충실하게 했지만, 공산주의 정부는 루마니아의 역사적인 유산을 보존하려고 노력하진 않았습니다. 특히 루마니아 공산주의 독재자이던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시대에 루마니아 고고학의 상황은 최악이었습니다. 독재자와 그의 아내는 자신의 개인숭배를 위해서 루마니아의 수도인, 북한에서 '부꾸레슈띠'라 불리는 부카레스트에서 대중이 모여 독재자를 숭배할 수 있는 대광장과 커다란 건물을 건설하라고 명령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커다란 건물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500년된 성당과 조상의 묘지까지 포함해 구도시 부카레스트를 불도저로 밀어 버려야 했습니다. 그리고 독재자의 개인숭배를 위해서 돈을 많이 쓰면서도 루마니아 곳곳에 있는 역사적 유물을 보존하려고 하진 않았습니다. 공산주의 체제가 무너진 후 루마니아는 특히1990년대 중반까지 쉽지 않은 전환기를 겪었습니다.

안타깝게도 당시 루마니아의 정부는 정치.경제.사회 개혁 정책을 추진하느라 역사적 유물에 대해 신경 쓸 여유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특히 보물을 찾는 사람들 때문에 루마니아의 역사적 유물들은 또 피해를 입었습니다.

현재 루마니아는 다른 동유럽 나라들처럼 특히 2007년 1월 1일 유럽연합에 가입한 후에 역사적인 유물의 가치를 다시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루마니아 사람들뿐만 아니라, 수 만명 외국인 관광객들까지 루마니아의 고전 로마 시대 유물, 중세시대 도시와 성당과 수도원을 다시 찾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루마니아의 도로 공사가 활발해지면서 역사적 유물들이 계속 출토되고 있습니다. 요즘은 합법적으로 역사적 유물을 발굴했을 경우 건설 회사나 도로 공사를 맡은 기업들이 고고학자들을 고용해 이러한 유물들을 보존해야 합니다.

옛날 루마니아와 상황이 많이 비슷한 북한은 루마니아의 교훈을 살펴보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을 것이라 생각이 듭니다. 약 10년전부터 평양 동명왕릉과 평남 대동군 덕흥리 고분 등을 조사한 유네스코 고위관리들은 '북한의 고구려 고분들에 습기가 많아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습니다.

북한은 경제 개혁을 이끌어 나가 경제 위기를 극복하고 북한의 문화유산을 보존하는데 많은 투자를 해야 하리라 생각합니다. 또한 투명성 있게 외국인 고고학자와 비정부기관들을 받아들이면 북한의 역사적. 문화적 재산을 보존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리고 남북한 고고학자들과 다른 나라 고고학자들과 협조해 남북한의 역사적 유물들을 계속 출토하면서 세계 사람들에게 남북한 역사의 중요성을 계속 인식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