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3월11일 현지 시간으로 14시 46분경 일본 도호쿠 지방 태평양 앞바다에서 초대형 지진이 발생했습니다. 규모 8.9의 엄청난 지진이었습니다. 미국 지질조사국의 지진 규모기준으로 기록된 전세계 역사상 5번째이며, 일본의 기록된 역사상 1번째 규모의 지진이었습니다. 지진에 의해 10미터까지 오른 해일때문에 일본 동해안에 있는 도시와 마을, 특히 지진 진앙으로부터 거리가 얼마 안되는 센다이 항구도시는 형언할 수 없는 엄청난 피해를 입었습니다.
지진으로 인해 일본 원자력발전소도 피해를 입었습니다. 일본 정부는 12일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제1호기 주변에서 방사능 물질이 검출됐다고 밝히고 20km 일대에 있는 약20만 명의 주민들을 대피시켰습니다. 지진과 해일에 의한 사망자수는 급증하고 있으며 몇만 명까지도 희생됐을지 모른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3월11일 지진과 해일에 의한 인명손실이 상상조차 못할정도로 컸지만, 지진이 자주 일어나는 일본에는 세계에서 가장 발달된 지진과 해일 경보체계가 있기 때문에, 수십만명의 국민들의 생명을 구하게 됐을지도 모릅니다. 일본 곳곳에 설치되어 있는 수많은 최신식 지진계로 인해 지진이 발생하기 몇분전 경보가 울리게 되어 있습니다. 지진이 발생하기 직전에 경보가 작동하기 때문에, '신칸센,' 즉 일본의 고속열차는 자동적으로 멈추게 됩니다. 또 평소 국민은 지진과 해일에 대응하는 조치에 관한 교육을 받기 때문에, 해일이 해변가를 덮치기 전에 가능한 빨리 높은 지대로 대피할 수 있습니다. 주민의 안전을 우선으로 하는 일본의 수준높은 건축법에 의해 희생자수는 확실히 줄어들었을 것입니다.
또 대규모 자연재해가 발생했을 경우 투명성이 아주 중요합니다. 세계3위의 경제 강대국인 일본은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에서 일어난 비상사태를 즉시 국민들과 국제사회에 밝히며, 지진과 해일에 의한 피해 규모가 워낙 커 스스로 위기를 극복하지 못한다는 것을 인정하고 바로 국제사회의 지원을 요청했습니다. 그래서 한국을 포함한 다른 나라들이 지원하며 미국항공모함, 또는 미국, 독일과 영국 구조팀들이 수색과 구조 작업, 생존자에게 비상식량을 공급해주는 작업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국민을 우선으로 생각하여 재해의 규모를 국민들과 국제사회에 밝히는 것이 상식이라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본과 달리 독재국가인 나라들의 경우는 많이 다릅니다. 안다깝게도 북한의 경우도 마찬가집니다. 예를들면, 2004년 4월 22일 북한의 용천역에서 기차 폭발 사고가 일어나 수많은 희생자와 부상자가 발생했습니다. 그러나 북한 정부는 사고가 일어난 22일 주민들에게 용천 폭발에 대해 쉬쉬하다, 이틀 후인 24일에야 사고에 관한 첫 공식 발표를 하면서 처음으로 사망자 수도 밝혔습니다. 사고가 난 후 북한 정부는 북한 주민들보다 먼저 국제적십자사 , 세계식량계획 등 여러 유엔 기관에 긴급 지원 요청을 했습니다. 구호물자 지원이 급한데도 북한은 한국이 제안한 육로 수송은 곤란하다고 핑계를 대는 바람에 필요한 구호물자가 늦게 도착했습니다. 용천 대폭발때문에 집 수천채가 파괴되고 수백명이 사망하거나 부상을 입었지만, 북한 정부는 이틀동안 주민들에게 사고소식을 알려 주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폭발소식이 국제적으로 알려질까 두려워 국제 전화 연결도 당분간 끊었습니다.
냉전시대에 소련에도 이러한 경우가 있었습니다. 1986년 4월 25일 소련에 있는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에서 안전 기준 미달과 부주의로 대폭발 사건이 있었습니다. 소련의 공산정부는 폭발사고 소식을 한동안 통제하는 바람에 유럽사람들은 전혀 이 상황을 모르고 있었습니다. 나중에 인공 위성이 찍은 사진을 통해 국제적으로 체르노빌 핵발전 사고의 참상을 알게 되었습니다. 오늘날 체르노빌은 소련이 붕괴된 후 독립된 우크라이나 영토에 있는데, 1986년 핵사고로 부상당한 흉한 모습의 어린이들이나 젊은 사람들이 아직도 있습니다. 만일 당시 소련 정부가 체르노빌 핵사고를 빨리 알려 민간인들을 대피시켰다면 많은 희생자와 부상자 수를 줄일 수도 있었을 것입니다.
최근 일본과 같은 선진국도, 아이티와 같은 후진국도 대지진때문에 엄청난 피해를 입었습니다. 지진뿐만 아니라, 태풍이나 대홍수와 같은 대규모 자연재해나 인재가 세계의 어디에서든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재해에 의한 피해와 인명손실에 관한 효과적인 조치를 취하기 위해 투명성과 국제협력은 꼭 필요합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