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칼라튜] 개인용 컴퓨터 개발 33주년

0:00 / 0:00

8월 12일은 인류 역사상 중요한 날로 기념되고 있습니다. 33년 전인 1981년 8월 12일 세계 최대의 컴퓨터 업체인 미국의 IBM사가 개인용 컴퓨터를 출시했습니다. 그 당시 컴퓨터는 부피가 크고, 무겁고 값도 비쌌기 때문에, 개인용으로 사용하기가 불가능했었습니다. 1981년 처음 출시된 개인용 컴퓨터 'IBM 5150 PC'도 많이 무거운 편이었습니다.

당시 컴퓨터 무게는 약 11.7킬로그램이었고, 자판만 2.7킬로그램이었습니다. 가격도 비싼 편이었습니다. 그 당시 미화로 약 1천575 달러, 즉 그 당시 중산층 미국인의 한 달 월급 정도였습니다. 물론 디스켓 드라이브, 컬러 모니터와 견디기 힘든 소리를 내는 인쇄기까지 사려면 가격이 두 배로 더 들었습니다. IBM은 세계 최초 개인용 컴퓨터를 처음엔 2천 대 정도 판매하는 게 목표였지만, 결국 100만 대가 팔려, 인류의 역사상 두 번째 '산업 혁명'이 시작됐습니다.

18세기 후반부터 시작된 열병합발전에 의한 대량생산은 약 150년에 걸쳐 세계의 경제, 정치, 사회를 바꿔놓았습니다. 1981년 출시된 개인용 컴퓨터는 25년 만에 세상을 바꿔놓으며 25년전 인간이 꿈속에서만 상상하던 일이 컴퓨터를 통해 많이 이뤄졌습니다. 요즘 속도가 빠르며, 가볍고, 얇고 저렴한 휴대용 개인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개인용 컴퓨터의 원조 격인 1981년 'IBM 5150 PC'를 다시 생각해 봅니다.

20년 전 공용 인터넷이 세상에 나온 뒤 사람이 사는 법과 생활양식은 많이 변했고 모든 사람들이 컴퓨터를 키면 세상을 새로운 눈으로 경험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과학기술로부터 요리법에 이르기까지 필요한 정보를 인터넷을 검색하여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컴퓨터 오락도 많이 발전했고, 신용카드만 있으면 음식 주문까지 필요한 것은 모두 컴퓨터로 구입하여 집에서 직접 받을 수 있습니다.

옛날에는 전화 요금, 특히 국제 전화 요금이 비쌌지만, 요즘에는 인터넷 화상 채팅을 통해 상대방의 얼굴을 바라보면서 멀리 떨어져 있는 친구들 또는 가족과 함께 무료로 이야기를 나눌 수도 있습니다. 인터넷을 통해 수많은 사람들이 정보를 쉽게 얻으며 특정 주제에 대한 의견을 나눌 수 있습니다.

1989년까지 공산주의 독재체제에서 살던 동유럽 사람들은 개인용 컴퓨터와 인터넷의 가치를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25년전 공산주의 체제가 무너지기 전 개인용 컴퓨터 개발에 의한 일들은 상상조차 할 수 없었다는 것을 공산주의 독재 체제를 직접 경험하지 못한 동유럽 젊은이들은 이해하지 못할 것입니다. 그들에게 컴퓨터와 인터넷은 이미 생활의 일부분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요즘 동유럽의 젊은이들은 자국이나 외국에서 IBM과 같은 다국적 업체에 많이 취직을 합니다. 옛날 선진국들은 노동력 부족을 이민 정책을 통해 해결했지만, 인터넷과 다른 통신 수단이 발달하면서 지식 노동자들은 자국에서 지구 반대편에 있는 나라에 위치한 회사의 일을 할 수 있습니다.

동유럽 국가는 25년 전 공산주의 독재 체제로부터 개방되지 않았다면 개인용 컴퓨터에 의한 과학기술, 사회, 정치, 경제, 문화 혁명에 참여하지 못해 현대 세상으로부터 고립됐을지도 모릅니다. 북한도 과학기술 발전을 위해서는 투명한 사회를 만들고 변화의 길을 모색해야 합니다. 그러나 북한 당국이 과학기술을 개발하려 해도 바깥세계의 정보를 심하게 통제하기 때문에 그 발전이 제한될 수밖에 없습니다. 예를 들면, 조선콤퓨터중심(KCC)이 제작한 '삼지연,' 평양기술총회사(PIC)가 만든 '아리랑,' 그리고 아침판다합작회사가 제작한 '아침,' 3가지 타블레트 PC가 판매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 타블레트 PC들은 바깥세계 인터넷과 접속이 제한된 '광명' 체계에만 접속될 수 있습니다. 북한에서 만든 타블레트 PC를 외국으로 가지고 가면 북한의 '광명' 체계가 아닌 다른 인터넷 망에 접속할 수 없습니다. 주민들이 세계 인터넷 망을 접속 못하게 타블레트 PC를 만드는 나라는 북한밖에 없을 것입니다. 투명성, 개혁과 개방 없이 타블레트를 포함한 북한의 컴퓨터 전자 산업도 발전하지 못할 것입니다. 세계화 시대에 국제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인력 개발에 힘써야 합니다. 이를 위해 북한주민들이 컴퓨터를 사용해 세계곳곳에 있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인터넷 접근을 허용해야 하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