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10월초만 되면 저는 1989년 가을이 생각납니다. 그해 10월과 11월 불과 두달새, 독일은 분단 40년만에 통일의 기쁨을 맛보았으며 다른 동유럽 공산주의 나라들도 자유와 민주주의의 여정을 시작한 것입니다.
그때 저는 루마니아, 즉 로므니아의 부꾸레슈띠 대학 1학년이었습니다. 당시 차우셰스쿠 독재정부의 언론검열이 너무 심했기 때문에 국내 방송을 통해서는 바깥나라 소식을 제대로 들을 수가 없었습니다. 더군다나 전력난 때문에 하나만 운영되던 TV 방송국도 매일 저녁 2시간밖에 방송하지 않았고, 그나마 그 짧은 시간에 방송된 것도 주로 루마니아의 독재자와 관련된 뉴스와 독재자를 위한 연주회나 독주회가 고작이었습니다.
그러나 1989년 9월부터 루마니아 사람들도 동유럽에서 역사적인 사건들이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루마니아 사람들은 그나마 단파로 들어오던 '자유유럽방송'을 통해서 바깥세계의 좋은 소식을 하나 둘씩 들으면서 루마니아도 어쩌면 개방될 가능성이 있을지도 모른다는 희망을 갖게 되었습니다. 혹시나 이웃사람에게 들킬까봐 라디오 소리를 바싹 줄인 채 저는 외할아버지와 함께 바깥세계의 희망의 소식을 듣곤 했습니다. 당시 들었던 내용 중 지금도 귓전에 생생히 들려오는 것을 한 두가지 소개하면 이렇습니다.
"미국의 레이건 대통령이 도이췰란드의 분단과 냉전 시대를 상징한 베를린 장벽을 보고 '그 장벽을 빨리 없애라'라고 말했습니다."
"오스트리아와 마쟈르, 체스꼬슬로벤스꼬와 뽈스까가 수만여 동유럽 피난민들에게 입국을 허가해 이들이 쉽게 민주주의 국가였던 서도이췰란드로 망명할 수 있었습니다." 저는 당시 차우셰스쿠 독재정권의 비밀 경찰을 두려워했기 때문에, 해외방송에서 들었던 이런 내용을 누구한테도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없었습니다. 그나마 가족끼리 혹은 정말로 믿을 수 있는 친구들한테만 얘기를 주고 받았습니다. 그런데도 저의 부모님은 늘 믿을 사람은 가족밖에 없다며 가장 친한 친구도 믿지 말라고 말했습니다. 제가 다니던 대학의 복도 곳곳에서는 삼삼오오 대학생들이 모여 도이췰란드 통일 이야기를 했습니다.
그러나 이들은 TV를 통해 도이췰란드 통일의 현장을 볼 수는 없었기에 서로 하나가 된 도이췰란드의 젊은이들의 모습을 상상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망치를 들고 베를린의 장벽을 무너드리는 수천여 도이췰란드 젊은이들의 모습 말입니다. 개인적으로 한가지 일화가 생각납니다. 1989년 10월 중순 비가 많이 오던 어느 날 우리 집 식구가 모두 모여 루마니아와 동유럽의 상황에 대해 많은 얘기를 나눴습니다. 당시 이런 얘기를 했던 기억이 납니다.
'루마니아는 비밀 경찰의 힘이 너무 세니 도이췰란드 같은 일은 있을 수는 없다…"
"우리 50대나 60대는 차우셰스쿠가 떠날 날을 못 볼 것이다…"
"동유럽의 공산주의 정부들이 모두 흔들리고 있는데, 차우셰스쿠만 살아 남을 수는 없을 것이다…" 등등 말입니다.
이제와 돌이켜보면 그 때는 분명 젊은이들의 가을이었습니다. 나이든 우리들의 부모는 하릴없이 시절을 비관했지만 동유럽 젊은이들은 인간다운 삶을 살겠다며 이를 행동으로 실천한 것입니다. 그 해 가을 도이췰란드에서 루마니아에 이르기까지 모든 동유럽의 젊은이들은 확실히 인류의 역사의 한 순간을 바꿔놓은 것입니다. 그 당시 전문가들과 일반 사람들이 한반도에도 도이췰란드와 같은 변화가 올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베를린의 장벽이 무너진 지 23년후 북한이 제2의 권력세습을 이뤘으며 개혁과 개방을 거부하며 군사도발, 핵과 미사일을 통해 세계평화를 위협하기 때문에, 번영하는 자유민주주의 국가인 한국과 북한의 통일이 아직까지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