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칼라튜 칼럼] 카다피와 차우셰스쿠의 우정

0:00 / 0:00

2011년 '재스민 혁명'이라는 중동 시민들의 대규모 반독재 시위에 의해 '뜌니지' 벤 알리 대통령의 24년 독재와 이집트 호스니 무바라크의 30년 독재가 무너졌습니다. 리비아에서 반독재 시위가 반독재 혁명과 내전으로 변해 결국 무아마르 카다피의 41년 독재가 무너지고 독재자가 시민군에게 붙잡혀 총살을 당했습니다.

2011년에 중동 3개국을 독재에서 해방시키고 다른 중동나라에서 자유의 바람이 불게 한 '재스민 혁명'은 1989년 동유럽의 공산주의 독재체제를 무너뜨린 혁명과 공통점도 있고 차이점도 있습니다. 기본적인 공통점은 독재가 영원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또 반독재 혁명에 의해 세력을 잃은 독재자들의 공통점도 있고 차이점도 있겠지만, 확실한 공통점은 국민을 탄압하고, 인권을 유린하고 국민에게 지도자를 자유 투표로 선택할 권리를 거부하는 것입니다.

1989년12월 군사재판을 받아 사형을 당한 북한에서 '로므니아'라 불리는 루마니아 독재자 니콜라에 차우셰스쿠와 2011년10월에 리비아 시민군에게 붙잡혀 총살을 당한 모아마르 가다피는 가까운 친구 사이였습니다. 차우셰스쿠의 해외정보국 대장이던 미하이 파체파 장군은 1978년에 미국으로 망명했습니다. 파체파 장군은 1980년대 '붉은 지평'이라는 책에서 차우셰스쿠와 카다피의 특별한 관계를 포함해 루마니아 독재자의 사고 방식과 행위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많이 폭로했습니다. 또 지난 10월20일 카다피가 사망한 후 1978년부터 1985년까지 루마니아 외무부장관이던 쉬테판 안드레이(Stefan Andrei)가 두 독재자의 관계에 대해 루마니아 언론에 많은 정보를 전달했습니다.

1970년대초 카다피는 현대기술과 지식이 필요했고, 차우셰스쿠는 석유가 필요했습니다. 그래서 1974년2월12일부터14일까지 차우셰스쿠가 리비아를 국빈 방문했습니다. 그때 루마니아와 리비아가 수교하게 되었습니다. 그 이후 루마니아는 리비아를 개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루마니아 회사들은 리비아에서 학교, 병원, 도로, 운동장, 항구 시설들을 공사하고 리비아의 석유탐사와 조선업 활동을 활발히 했습니다. 차우셰스쿠의 국빈방문 1년후인 1975년까지 14개의 루마니아 회사와 1만1천명의 루마니아 사람들은 리비아에서 일했습니다. 1970년대와 1980년대 수 천명의 리비아 유학생들이 루마니아 국비장학생으로 루마니아에서 유학했습니다. 루마니아는 1989년까지 리비아로 무기와 탄약 수출도 많이 했습니다. 1974년부터 1980년까지 루마니아와 리비아간에 경제교류 규모는 10억 달러에 달했습니다.

파체파 장군에 따르면 차우셰스쿠와 카다피간의 관계가 계속 가까워지면서 카다피의 요청에 따라 루마니아는 대량살상무기 연구 및 개발을 시작하여 그러한 기술을 리비아로 이전했다고 합니다. 화학과 생물학 무기 개발 담당자는 루마니아 국방부 소속인 '미하이 키짜크' (Mihai Chitac) 장군이며 루마니아 국가 보위부 대장이던 '투도르 포스텔니쿠' (Tudor Postelnicu)는 소규모의 핵폭탄을 개발하려는 연구를 장려했습니다. 차우셰스쿠 정권은 핵폭탄 프로젝트를 마무리하지 못했지만, 화학과 생물학 무기를 성공적으로 생산했고, 카다피도 루마니아의 대량살상무기 개발과 기술이전으로 이익을 얻었습니다.

1981년 카다피는 루마니아를 방문했습니다. 루마니아 독재자 차우셰스쿠의 취미는 사냥이었기 때문에, 카다피와 리비아 대표단과 함께 루마니아 숲 속으로 사냥을 나갔습니다. 그러던 중 사고가 났습니다. 카다피의 의형제인 리비아 독재자의 경호원 대장이 사냥하다가 머리에 총을 맞아 사망했습니다. 그때 그 사건이 우연한 사고가 아니였다는 소문도 있었습니다. 그때 음모설은 카다피의 의형제는 리비아 독재자가 사망할 경우 리비아의 지도자가 될 가능성이 있었기 때문에, 루마니아 숲 속에서 사냥하다 카다피의 측근들에 의해 암살을 당했을지도 모르는 의문이었습니다.

1970년대와 1980년대 카다피는 많은 악명 높은 테러집단과 테러범들의 고용주였습니다. 파체파 장군이 미국으로 망명한 후 카다피는 차우셰스쿠에게 파체파를 암살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차우셰스쿠는 1980년대초에 리비아 독재자를 통해 '칼르로스'라는 국제 테러리스트를 고용해 미국에서 거주하는 파체파 장군을 암살하려 했지만, 다행이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1989년12월말 루마니아 반공산주의 혁명 때 루마니아군과 시민군들은 차우셰스쿠를 보호하려는 보위부 요원들과 1주일동안 싸웠습니다. 그때 루마니아에서 훈련 받던 리비아 용병들도 차우셰스쿠를 보호하려고 싸웠다는 소문에 카다피가 기분이 매우 나빠했었습니다. 카다피의 친한 친구이던 차우셰스쿠의 사망 후 루마니아가 자유민주주의 국가가 되었고 루마니아와 리비아간의 교류는 축소되었습니다.

루마니아 국민은 독재자 차우셰스쿠가 많은 돈을 들여 카다피에게 개발원조를 해주는 것을 부정적으로 생각했습니다. 왜냐하면 특히 1980년대 루마니아에서 정전이 잦아지고 식량이 부족했음에도 불구하고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 국민의 생활을 개선하는 데 돈을 쓰지 않고 카다피와 같은 제3세계 독재자에게 원조하는 데 신경을 썼기 때문입니다. 사실 공산주의 체제가 무너진 지 22년후인 지금 리비아는 1980년대에 진 1억달러가 넘는 부채를 루마니아에 상환하지 못한 상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