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전 시대에 북한과 가장 비슷하던 동유럽 나라는 북한에서 '로므니아'로 알려진 루마니아였습니다. 그것은 우연한 일치가 아니었습니다. 루마니아의 독재자이던 니콜라에 차우셰스쿠가 가장 좋아했던 것은 두 가지였습니다. 하나는 관중앞에서 연설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아내 엘레나를 찬양하는 연주회나 무용을 관람하는 일이었습니다. 그는 특히 1971년 북한을 방문 뒤 북한식 개인 숭배에 매혹되었습니다.
무엇때문에 차우셰스쿠가 북한식 공산주의 독재자 숭배를 그렇게 좋아했을까요? 인류 역사에 독재자들은 많았지만, 북한식 개인 숭배는 가장 심하면서도 사이비 종교와 거리가 가깝기 때문이겠죠. 저도 그것이 항상 궁금해서, 몇년전 차우셰스쿠와 같이 북한을 방문했던 그당시 루마니아 외교관이나 고위 간부이던 사람들에게 직접 물어본 일이 있습니다. 그들의 말로는 이유가 여러가지 있었습니다.
첫째, 차우셰스쿠도 북한의 김일성처럼 절대적인 권력을 가지고 싶었습니다. 차우셰스쿠는 북한처럼 루마니아식 "주체" 사상을 통해서 독재자의 절대적인 권력을 강화시킬 수 있었습니다.
둘째, 북한식 개인 숭배는 독재자의 가족까지 숭배하기 때문이죠. 독재자 남편과 함께 북한을 방문한 후에 엘레나는 루마니아의 정치 무대에서 오지랖을 넓히기 시작했습니다. 결국 루마니아에서의 개인 숭배는 차우셰스쿠뿐만 아니라, 그의 아내와 막내아들에게 이어졌습니다.
셋째, 평양의 웅장한 도로와 군중 때문입니다. 평양은 군중들이 모여서, 독재자를 숭배하기 위해서 만든 도시라는 데 감명받은 차우셰스쿠도 루마니아의 수도 부꾸레쉬띠(부카레스트)를 그런 도시로 만들고 싶었습니다.
차우셰스쿠가 가장 좋아한 것은 구호를 외치는 군중 앞에서 연설하는 것이었습니다. 김일성은 그것을 알고 차우셰스쿠가 방북할 때 수만명의 주민을 모아 그들 앞에서 연설을 할수 있도록 해주었습니다. 차우셰스쿠는 많은 나라를 방문했지만, 방북하는 것을 가장 좋아했습니다.
차우셰스쿠와 김일성은 공통점이 많습니다. 두 사람은 각각 북한식과 루마니아식 주체 사상을 설립하며, 세계의 변화를 무시한채 절대적인 공산체제로 국민을 지배하려고 했습니다. 국민들을 굶기고 그들의 인권을 무시하면서도 항상 자신의 숭배에 열을 올려 나라의 부족한 자원을 탕진했습니다. 두사람은 또 막내아들인 니쿠와 김정일이 권력을 세습하는 것을 바랐습니다. 물론 차우셰스쿠와 김일성의 차이점도 있습니다. 루마니아의 독재자와 그의 아내는 사형을 당했고, 막내아들이 간암에 걸려서 사망했습니다.
루마니아는 정치경제 개혁과 자유민주주의 길을 선택하여 유럽연합과 북대서양 조약기구에 가입했습니다. 반면 북한에서는 권력세습이 두번이나 이뤄졌습니다. 북한의 김정은은 아버지와 할아버지 유산을 유지해 왔습니다. 북한의 얼마 없는 자원을 핵과 미사일개발에 낭비하며 주민의 고통, 식량 부족, 인권 유린과 위협적인 외교정책으로 악명 높은 '불량 지도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북한의 김일성은 악명 높았던 독재자 차우셰스쿠보다도 더 심한 독재체제를 구축했다는 것은 틀림이 없습니다. 김일성이 한국전을 일으켜서 수백만명이 희생되었지만, 차우셰스쿠는 그런 짓을 하진 않았습니다. 그리고60년대까지 루마니아의 강제노동 수용소는 다 없어졌지만, 북한에는 21세기인 지금도 12만 여명이 정치범 수용소에 수감되어 있습니다. 21세기에 김씨 일가 정권에 의해 비인간적 반인륜 범죄가 계속 자행되고 있으며 북한이 세계적으로 인권상황이 가장 열악한 국가입니다.
차우셰스쿠는 김일성의 북한과 비슷한 공산주의 독재체제를 만들고 싶어서 루마니아 사람들에게 많은 고통을 주었지만 지금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인물입니다. 오늘날 루마니아는 개혁 정책을 이끌어가면서 정상적인 국제 사회에 편입했습니다. 북한이 이런 루마니아의 달라진 모습에서 어떤 교훈을 얻을 수 있을까요?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