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3월 5일은 특히 동유럽 사람들에게 슬픈 기념일입니다. 70년 전 1946년 3월 5일 제2차 대전때 영국의 수상이던 윈스턴 처어칠은 미국 미주리주 풀턴시에 있는 웨스트민스터 대학에서 명예 학위를 받으며 감동을 주는 연설을 했습니다.
그 연설에서 처어칠은 세계를 나치로부터 해방시키기 위한 미국, 영국, 로씨야 (러시아)와 다른 연합군들의 희생을 인정했습니다. 그러나 처어칠의 연설은 당시 떠오르던 또 다른 위협, 즉 소련 공산제국주의에 대한 경각심을 높였던 것입니다.
바로 그 연설에서 자유민주주의 세계와 공산주의 독재 세계를 분단시킨 그의 유명한 '철의 장막'이란 표현이 처음으로 나왔습니다. 그 연설에서 처칠은 유럽에 '철의 장막'이 드리우고 있으며, 중유럽의 도시인 뽈스까 (폴란드) 와르샤와 (바르샤바), 체스꼬슬로벤스꼬 (체코슬로바키아) 쁘라하 (프라하), 마쟈르 (헝가리) 부다뻬슈뜨 (부다페스트), 유고슬라비아 베오그라드 (벨그라드), 로므니아 (루마니아) 부꾸레슈띠 (부카레스트)와 벌가리아 (불가리아) 쏘피아 (소피아)는 소련 영향권에 들어갔다고 말했습니다.
그래서 사학자들은 미국이 주도한 자유 세계와 소련이 지배한 공산주의 독재 세계의 대립을 배경으로 하는 냉전시대는 1946년 3월 5일 처어칠의 연설을 계기로 공식적으로 시작했다고 봅니다.
당시 처어칠의 연설은 자유민주주의 세계를 눈뜨게 했습니다. 1945년 4월부터 1946년 3월까지 자유세계는 수 천만 명을 살해한 히틀러와 나치스 (나치)가 무너진 것을 기념했지만, 2차대전때 연합국 일원이었던 공산 소련은 엄청난 군사력으로 동유럽을 붉은 식민지로 변화시킨 것입니다. 소련의 군화발에 짓밟힌 동유럽 사람들은 1946년부터 1989년까지 무려 45년 동안이나 공산주의 독재, 인권 유린과 공산주의 중앙계획에 의한 경제 위기 때문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살았습니다.
냉전 시대 때 문명의 종말을 가져올지도 모르는 미국과 소련간의 핵군비 경쟁이 벌어졌습니다. 핵경쟁의 가장 위험했던 시기 지난 1962년의 꾸바 (쿠바) 미사일 위기였습니다. 1962년 10월 22일부터 11월 21일 사이의 미국 과 구소련간의 대결이 벌어졌습니다. 당시 소련은 미국의 앞마당이라 할 수 있는 꾸바 (쿠바)에 핵미사일 발사대를 설치하려다 미국과 핵전쟁 일보직전까지 갔습니다. 당시 케네디 미국 행정부의 지혜로운 위기관리 덕분에 제3차 대전, 또 핵전쟁으로 인한 종말을 피할 수 있었습니다. 공산주의 체제 하의 경제, 정치, 사회적 실패로 인해 소련이 무너질 조짐을 보이던 1989년 중유럽의 공산주의 독재는 무너지기 시작했습니다. 동서 분단을 상징하던 독일 베를린 장벽이 무너졌습니다. 체스꼬슬로벤스꼬 (체코슬로바키아)에선 평화적인 변화가 이뤄졌고, 로므니아 (루마니아)의 경우 수천 명 젊은이들이 희생하면서 니콜라에 차우셰스쿠의 독재 체제를 유혈 혁명으로 무너뜨렸습니다.
1990년대 동유럽 나라들은 쉽지 않은 전환기를 겪어야 했고, 유고슬라비아의 경우는 지독한 전쟁까지 겪고 말았습니다. 결국 마쟈르 (헝가리), 뽈스까 (폴란드), 체스꼬 (체코), 슬로벤스꼬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와 발트 3국은 2004년, 로므니아 (루마니아)와 벌가리아 (불가리아)는 2007년 흐르바쯔까 (크로아티아)는 2013년 유럽연합에 가입하면서 자유민주주의와 자유시장으로 향한 개혁 정책이 어느 정도 성공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한때 공산체제였던 이들은 오늘날 자유민주주의국으로 변신해 당당히 평화와 번영의 길을 걷고 있습니다.
처어칠의 '철의 장막' 연설 70년 후, 또 동유럽의 공산주의 독재 체제가 무너진 지 27년 후, 유일하게 남아 있는 냉전시대의 유물은 이제 꾸바 (쿠바)와 북한밖에 없습니다. 꾸바는 2015년 54년만에 미국과의 외교 정상화로 향하는 과정에 들어갔으며 바라크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올 3월에 꾸바 (쿠바)를 방문할 예정입니다.
이젠 꾸바까지 변화를 이끌 의지가 보이는 것 같지만, 북한의 경우는 여전히 다릅니다. 북한 주민들은 몇 십 년 동안 비효율적인 공산주의 중앙계획경제, 심한 독재와 개인숭배, 정치탄압과 인권 침해로 많은 고통을 겪었습니다. 또한 북한은 김일성 국가주석 사망 이후 김정일 정권에 이어 김정은 정권까지 후기 공산주의, 후기 산업사회 왕조적 정치를 추진해 왔으며 핵과 장거리 미사일 개발과 군사 도발로 한국과 동북아시아의 평화를 위협해 왔습니다. '철의 장막' 연설 70년 후인 오늘날 북한은 냉전시대의 유산을 없애고 평화와 번영을 누리며 21세기 지구촌 시대에 동참하기 위해 과감한 변화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