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칼라튜] ‘루마니아식 주체’ 실패 교훈

0:00 / 0:00

1989년 동유럽의 공산주의 체제가 무너지기 전 북한과 가장 비슷하던 동유럽 나라는 북한에서 '로므니아'라 불리는 루마니아였습니다. 제 2차대전 직후 루마니아는 구 소련의 군홧발에 짓밟혀 공산주의 국가가 되었습니다. 1965년 소련의지지를 등에 엎고 니콜라에 차우셰스쿠가 루마니아 공산당 사무총장이 되었고, 2년 뒤 대통령이란 직책을 만들어 그 자리를 차지했습니다. 1971년 북한을 처음 방문한 차우셰스쿠는 주체 사상과 개인 숭배, 그리고 평양의 웅장한 도로를 접한 뒤 크게 감탄한 나머지 귀국해서는 수도인 부꾸레슈띠 (부카레스트)를 평양처럼 대중이 모여 지도자를 숭배할 수 있는 도시로 바꾸려고 했습니다. 동시에 그는 루마니아식 '주체'를 건설하기 위해 연필에서 자동차와 비행기까지 무엇이든 외국의 협조없이 자체적으로 생산하려 했습니다. 당연히 김일성의 북한처럼 루마니아식 '주체'사상을 설교할 유일한 목표는 독재 정권 유지였습니다.

그러다가 70년대 초 차우셰스쿠는 어느 정도 소련의 영향권에서 벗어나려는 시도로 서방세계의 지지를 얻기도 했습니다. 그 덕분에 미국, 서유럽과 경제협력이 이뤄지기 시작했으며 이를 통해 루마니아의 자동차 산업과 화학 산업은 물론 항공 산업까지 발전의 기틀을 마련하기 시작했습니다. 루마니아 경제는 70 년대 중반까지 이 같은 국제 경제 협력과 루마니아 국민의 노력으로 많이 성장했습니다. 그러나 루마니아 경제가 성장하고 국제 교류가 늘어나면서 차우셰스쿠의 공산 독재 체제, 신격화와 인권 위반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국제사회에서 종전보다 더 커지기 시작했습니다.

차우셰스쿠는 한편으로 경제성장을 만끽하면서 다른 한편으론 정치, 경제, 사회 분야의 개혁을 원치 않았습니다. 북한 방문을 통해 알았던 정권을 유지하기 위한 루마니아식 '주체'를 반드시 이룩하고 싶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는 자신에 대한 개인 숭배와 독재 체제에 대한 비판을 막기 위해 루마니아 사람들이 외국인들을 만나 토론할 기회를 더는 주고 싶지 않았습니다.

자금이 부족한 루마니아에서 그나마 화학 산업과 석유 공장 등 중공업을 발전시키려면 외국 자본의 투자가 절대적이었습니다. 그러나 80년대 차우체스쿠의 고립 정책 탓에 루마니아의 산업은 형편이 없었습니다. 예를들면 부꾸레슈띠에 커다란 건물을 짓는 데 시일이 많이 걸리고 날이 갈수록 더 많은 외자가 필요했습니다. 외채를 갚기 위해 루마니아는 농산물과 식료품을 해외에 수출해야 했고 수입을 줄이기 위해 산업 생산에 필요한 기계와 부품은 물론 소비재의 수입을 전면 중단했습니다. 정부가 또 전기를 절약한다는 명분 아래 정전을 빚는 일도 비일비재했습니다. 식량 부족과 전력난으로 엄청난 고통을 겪던 루마니아 주민은 소련이 와해할 조짐을 보이던 1989년 말 마침내 반독재, 반공산주의 유혈 혁명을 일으켰습니다. 그 결과 독재자 차우셰스쿠와 남편 위세를 등에 엎고 활개치던 부인 엘레나도 군사 재판을 통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말았습니다.

공산주의 체제가 무너진 지 26년 후 루마니아는 뽈스까 (폴란드), 마쟈르 (헝가리)나 체스꼬 (체코), 다른 동유럽 나라들처럼 개혁과 개방의 길을 선택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받아들였고 유럽연합과 미국이 주도하는 민주주의 국가의 군사동맹인 나토, 즉 북대서양조약기구에 가입했습니다. 루마니아식 '주체'는 이처럼 완전히 실패했습니다. 이 같은 실패는 오늘날처럼 국가 간에 상호 의존이 갈수록 심해지는 지구촌 시대에 북한처럼 대외적인 고립과 독재 체제에 안주하면 결국 생존할 수 없다는 교훈을 주고 있습니다. 북한이 경제를 살리기 위해서는 개방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북한이 개방하면 할수록 국민에게 외부 세계에 대해 거짓말을 해온 김정은 독재 체제의 생존 가능성은 그만큼 줄어들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