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란코프 칼럼] 세습의 속도전 의심하는 북 인민

0:00 / 0:00

북한의 권력 세습은 서두르는 감이 있지만 순조롭게 이뤄지고 있습니다. 2년 전까지만 해도 도당지도원들조차 잘 몰랐던 김정은은 지금 최고 영도자로 등극했습니다. 노동신문에서는 인민 모두 김정은의 강철 기둥이 되어야 한다고 선전을 하고 있습니다.

북한의 통치세력은 김정은의 권력 기반을 위해 이러한 선전 말고는 대안이 없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국정 경험이 전혀 없지만 출신 성분 때문에 지도자가 된 김정은의 등장에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해 속도전을 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북한 주민들의 입장에서 보면 이것은 매우 이상하고 인위적인 것으로 생각될 것입니다.

북한이 봉건 사회를 유지해온 것은 공공연한 비밀입니다. 옛날 봉건 사회에서 양반의 아들이면 양반이 되었고 노비의 아들이면 할 수 없이 노비로 지냈습니다. 북한도 비슷합니다. 간부 집 아들만 간부가 될 수 있습니다. 정치구조도 비슷합니다. 조선시대 왕자만 왕이 될 수가 있었습니다. 북한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나 북한은 이 사실을 공개적으로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1970년대에 김정일이 아버지 김일성의 후계자로 지명되었을 때 북한 언론은 혈통 계승을 공개적으로 인정하지는 않았습니다. 로동신문과 중앙방송은 김정일이 후계자가 된 까닭이 가족세습이 아니라 김정일의 능력 때문이라고 주장하였습니다.

바로 그 때문에 김정일은 후계자로 전면에 나서기까지 거의 20년 동안 철저히 준비했습니다. 1970년대에 북한 언론은 그의 업적을 선전했고 김정일을 천재처럼 묘사하였습니다. 물론 당시에도 알 만한 사람들은 이 주장을 별로 믿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오랫동안 지속된 김정일 우상화와 과대 선전은 북한 주민들에게 어느 정도 영향을 줄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러나 이번에는 다릅니다. 김정은은 아직 서른 살도 되지 않았고 얼마 전 까지만 해도 당과 국가에 전혀 알려지지 않은 사람입니다. 그가 갑자기 북한 독재자가 되었고 최고 영도자로 찬양을 받고 있는 이유는 단지 그의 출신성분 뿐입니다. 북한 주민들은 이 사실을 잘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북한 주민들은 서둘러 권력 세습을 한 북한정권에 대해 선전의 진실성과 정권의 정당성에 대해 의심을 하고 있습니다. 지금 벌어지고 있는 권력세습의 속도전을 통해 북한 체제가 얼마나 시대착오적이며 반동적인지 적나라하게 알 수 있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