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인권탄압과 외국인 납치를 규탄하는 운동이 올해 들어 대내외적으로 힘을 얻고 있습니다. 미 국무부는 지난 4월 8일, 전 세계 194개 국가의 인권상황을 정리한 '2010년 세계 인권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그중 북한 인권 상황에 관해 국무부 인권담당국의 마이클 포너스 차관보는 '참으로 암울하고 암울하며 또 암울하다'라고 개탄했습니다. 또 국제인권단체인 국제사면위원회(국제엠네스티)는 '2011 국제엠네스티 연례보고서'를 통해 북한에서 지난해에만 최소 60명이 넘는 사람이 공개 처형됐다고 발표했습니다.
북한은 정치범 수용소 6곳을 비롯해 구류장과 노동단련대, 교화소 등 최소 480곳의 수용시설에 20여만 명의 주민들을 수용해 짐승처럼 고문하고 공개처형해 왔기 때문입니다. 또 남한의 국가기관인 국가인권위원회는 지난 3월부터 북한 인권침해신고센터와 북한 인권기록관을 신설해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국가인권위원회는 북한주민과 납북자들이 북한 내에서 살해, 공개 처형되거나 정치범수용소에서 당한 인권침해 사례를 신고 받아 기록, 보존하는 일을 맡고 있습니다.
독일 통일 전 서독은 1961년부터 1990년 통일 때까지 '중앙기록보존소'라는 기구를 설치해 4만 천3백90건의 동독 인권침해를 기록, 보존해 뒀다가 통일 후 이를 토대로 인권유린 가해자들을 처벌한 바 있습니다. 남한의 북한 인권기록관은 이 같은 서독의 중앙기록보존소를 본뜬 것입니다.
이와 관련 최근 남한 국가인권위원장은 남한에 와 있는 탈북자 2만여 명 가운데 주소가 확인된 1만 5,000명에게 편지를 보내 북한에서 겪은 인권침해 사례들을 신고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이에 따라 탈북자들이 북한에서 당한 인권유린 사례들이 낱낱이 기록, 보존될 예정입니다. 그럼으로 북한 권력자들은 자신들의 범죄행위 하나하나가 기록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처신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통일되는 날 통일법정의 재판관은 이 공소장(公訴狀)을 근거로 민족 앞에 준엄한 역사의 심판을 내리게 될 것입니다. 우리가 이룩코자하는 통일국가의 이념은 자유민주주의이고 자유민주주의의 최고 가치는 인간의 존엄과 자유 그리고 기본적 인권입니다. 그러기 때문에 북한 인권개선 운동은 북한주민에게 잃어버린 권리를 찾아주는 운동이며, 올바른 통일을 실현시키기 위한 숭고한 운동인 것입니다.
또한 미국의 비정부 기구인 북한인권위원회는 지난 12일 북한이 6,25전쟁 이후 전 세계 12개국에서 18만여 명을 납치했다는 보고서를 내놓았습니다. 이 중에는 북송사업을 통해 일본에서 건너간 총련 교포 9만 3천여 명과 6.25전쟁 때 남한에서 끌려간 납북자 8만 2천여 명, 그리고 프랑스, 이탈리아, 네덜란드, 태국, 중국 등에서 끌려간 사람들이 포함돼 있습니다.
이 보고서는 그동안 개별적으로 제기해왔던 납북기록을 총 집대성한 것으로써 북한인권위원회는 이 자료를 토대로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재지정할 것을 미국에 권고할 계획입니다. 북한의 외국인 납치행위는 현대사에 가장 큰 범죄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