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북한 위법 정보 다른 나라와 교환"

미국 정부는 유엔의 안전보장이사회가 결의한 대북 제재의 이행을 위해 북한의 위법 활동에 관한 정보를 다른 나라와 계속 교환할 방침이라고 미국 국무부의 고위 관리가 8일 밝혔습니다.

이 고위 관리는 필립 골드버그 대북제재 조정관이 이끄는 미국 대표단이 지난주 중국과 말레이시아를 방문해 북한에 대한 제재 방안을 구체적으로 논의했다며 앞으로도 아시아 내 다른 국가와 6자회담 관련국들로 범위를 확대해 북한의 위법 활동에 관한 정보를 교환하고 제재 방안을 정기적으로 논의해 나갈 방침이라고 전했습니다. 또 중국 정부도 자체적으로 대북 제재를 이행하기 위한 방안을 추진하고 있으며 미국 정부도 이를 확인하고 있다고 이 고위관리는 덧붙였습니다.

골드버드 대북제재 조정관이 이끈 미국 대표단은 중국과 말레이시아를 방문해 외교부 관리는 물론, 중앙은행과 세관 관계자들을 만났으며 대북 제재와 관련한 여러 정보를 교환했습니다. 특히 대표단은 북한과 버마 간의 불법적인 무기와 금융 거래에 관해서도 집중적으로 협의했으며 아세안 국가와 중국, 인도 등이 북한의 위법 활동에 개입하지 않도록 설득하는 방안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고위관리는 북한의 선박인 강남호가 버마로 향하다 항로를 바꾼 점은 국제사회가 정보를 교환하고 제재에 적극적으로 동참할 때 어떻게 좋은 결과(good outcome)를 낼 수 있는지 확인하는 좋은 기회였다고 설명했습니다. 따라서 북한을 6자회담에 돌아오게 하는 게 대북 제재의 궁극적인 목표인 만큼 국제사회와 함께 북한에 적절한 제재를 가하면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이 고위관리는 전망했습니다.

이 고위관리는 미국 정부가 말레이시아에서 북한의 의심스러운 계좌를 발견해 봉쇄조치를 취했다는 일부 언론 보도와 관련해 이는 사실이 아니다(That was not correct)라면서 미국 대표단은 정보 공유와 제재에 관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지 말레이시아 내 특정 기관이나 거래를 염두에 두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