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미국 의회가 제112회 후반기 의사 일정에 공식 돌입하면서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갑작스런 사망에 따른 북한의 권력세습과 한반도 안정 문제도 주요 의제로 다뤄질 전망입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하원이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사망에 따른 한반도 정세를 주요 의제로 하는 청문회 개최를 고려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미국 의회 소식통은 18일 하원 외교위원회가 김 위원장의 사망과 북한의 권력세습을 둘러싼 최근의 한반도 정세 변화를 다룰 의회 청문회를 검토중이라고 RFA,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이 의회 소식통은 청문회에는 국무부의 커트 캠벨 동아태 담당 차관보와 글렌 데이비스 6자회담 수석 대표, 그리고 로버트 킹 북한인권특사 등 국무부 내 대북정책 담당자들이 대거 증인으로 참석할 예정이라고 전했습니다.
이 소식통은 아직 청문회 개최 여부가 완전히 결정되지 않았다면서도, 지난해 하원 외교위의 북한 청문회 때 행정부 관리들이 일정 탓에 아무도 참석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번 회기에는 국무부 관리를 증인으로 불러 청문회를 할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습니다.
하원 외교위는 지난해 3월 10일 로버트 칼린(전 국무부 정보조사국 동북아 담당관), 브루스 클링너(전 중앙정보국 북한 분석관), 빅터 차(전 백악관 국가안보위원회 아시아 담당 국장), 윌리엄 뉴콤(전 재무부 선임 경제자문관) 등 전직 관리를 대거 증인으로 불러 ‘서울 불바다’ 발언 등 북한의 위협을 주제로 청문회를 연 바 있습니다.
만약 하원 외교위원회가 북한 문제를 주요 의제로 한 청문회를 열게 되면 북한의 권력승계 뿐 아니라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대북 식량지원을 포함한 미북 간 대화 재개 움직임에 대한 의원들의 질의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돼 주목됩니다.
한편 17일 저녁 공식 개원한 미국 하원에 이어 상원은 오는 23일 개원하며 24일에는 상하원 합동회의를 열어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으로부터 새해 주요 국정 운영 방침을 담은 연두교서를 들을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