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핵과 미사일 확산의 축”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를 계기로 북한이 일부 이슬람 급진세력과 핵과 미사일을 개발하기 위해 협력했다는 의혹이 다시 제기되고 있습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이슬람 급진세력에 반대하는 미국의 시민운동 단체인 '미국을 위한 행동(Act for America)'는 8일 성명을 발표하고 북한을 이슬람 급진세력과 함께 '핵확산의 축(Axis of Nuclear Proliferation)'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 단체는 북한이 비록 미국을 직접 공격하지 않더라도 핵과 미사일 기술을 미국에 적대적인 이슬람 국가와 단체에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들어 북한의 미사일 개발이 매우 위험하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b>클링너: 그동안 별로 주목을 끌지 못했던 북한과 일부 중동 국가 간 핵과 미사일 개발을 둘러싼 확산의 문제가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를 계기로 새롭게 관심을 끌고 있을 뿐입니다. </b> <br/>

미국을 위한 행동은 특히 북한이 장거리 로켓의 시험 발사에 실패해 군사적으로는 성공을 거두지 못했지만 미국에 대해서 정치적인 성공은 거둔 셈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이 때문에 사실상 무기력한 유엔을 통하기보다는 미국이 직접 북한과 급진적인 이슬람 세력 간 ‘핵확산의 축’을 끊고자 과감히 행동해야 한다고 이 단체는 촉구했습니다.

미국 의회도 북한이 핵과 미사일 기술을 일부 중동 국가에 확산했다는 의혹을 다시 문제 삼고 나섰습니다.

미국 하원의 테러 비확산 무역 소위원회 브래드 셔먼 위원장은 지난 6일 버락 오바마 대통령에게 편지를 보내 민간 분야의 핵 협력을 위한, 미국과 아랍에미리트연합(UAE) 간 협정을 비준해 달라고 의회에 요청하기 전에 북한이 아랍에미리트연합의 핵 시설에 접근할 가능성을 먼저 없애라고 요구했습니다.

셔먼 위원장은 하원 외교위원회의 일레나 로스-레티넌 공화당 간사, 그리고 하원 에너지 환경소위원회 에드워드 마키 위원장이 공동으로 서명한 이 편지에서 북한과 이란, 시리아 등 확산의 우려가 있는 나라가 중동 국가에 지원한 미국의 핵 시설과 물질, 그리고 기술에 접근해선 안 된다고 못박았습니다.

앞서 샘 브라운백 상원의원은 북한이 장거리 로켓을 시험발사한 직후인 6일 북한이 다른 테러 국가에 핵과 미사일 기술을 확산했다며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재지정하는 법안을 제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헤리티지재단의 브루스 클링너 선임 연구원은 북한이 이란, 파키스탄과 같은 나라와 핵과 미사일 개발에서 서로 협력했다는 점은 전혀 새로운 사실이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클링너: 그동안 별로 주목을 끌지 못했던 북한과 일부 중동 국가 간 핵과 미사일 개발을 둘러싼 확산의 문제가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를 계기로 새롭게 관심을 끌고 있을 뿐입니다.

의회 산하의 의회조사국(CRS)의 래리 닉시 박사도 오바마 행정부가 북한과 중동의 일부 세력 간 핵과 미사일 개발을 위한 협력 문제를 그리 심각하게 여기고 있지 않다고 분석했습니다.

닉시: 백악관이나 국무부가 이 문제에 그리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있습니다. 테러단체에 핵과 미사일 기술을 확산했다는 이유로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재지정해야 한다는 법안도 설사 제출되더라도 의회 안에서 그리 큰 지지를 받지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한편 북한이 중동의 테러단체인 헤즈볼라에 이스라엘을 로켓으로 공격하는 데 필요한 장비와 훈련을 제공했다며 이스라엘에 사는 미국 시민 30명이 북한을 상대로 1억 달러의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소송을 미국 연방법원에 제기했다고 한국의 연합뉴스가 8일 보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