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일본의 납치 피해자 가족들은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망이 납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주장하면서 일본 정부에 적극적인 대책을 강구하라고 촉구했습니다.
도쿄에서 채명석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일본인 납치 피해자 요코다 메구미 씨의 부친 시게루 씨와 모친 사키에 씨는 김정일 위원장이 급사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19일 밤 “납치 사실을 인정한 김정일 위원장이 죽기 전에 납북 일본인들을 가족의 품으로 돌려보내 주었으면 좋았을 텐데”라고 말끝을 흐렸습니다.
요코다 씨 부부는 이어 “김정일 위원장의 사망이 납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둘도 없는 기회”라고 주장하면서 “일본정부는 모든 수단을 가리지 말고 북한의 새 지도부와 교섭할 통로를 개척하라”고 촉구했습니다.
북한에 납치됐다가 2002년에 일본으로 돌아 온 소가 히토미 씨도 성명을 발표하고 “이번 기회를 이용하여 아직 귀국하지 않은 납치 피해자를 전원 구출하라”고 일본 정부에 촉구했습니다.
2002년에 함께 귀국한 하스이케 가오루 씨는 “일본정부가 앞으로 북한에서 전개될 정세를 신중히 분석하고 판단하여, 북한에 남아 있는 납치 피해자들의 안전이 보장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라”고 요구했습니다.
일본의 한반도 문제 전문가들도 “2008년 8월 이후 북일 간의 대화 채널은 완전히 중단된 상태”라고 지적하면서 “노다 정권은 대북 압력 일변도 정책에서 탈피하여 북한의 새 지도부와 대화할 수 있는 타개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마이니치신문의 스즈키 다쿠마 편집위원은 20일 TBS TV의 토론 프로그램에서 “일본정부가 북한에 조문 사절단을 파견하거나 조총련 중앙본부에 마련된 분향소에서 분향하는 식으로 먼저 북한에 유화 메시지를 보내야 한다”고 말하면서, 함께 출연한 아베 신조 전 총리에게 “납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북한에 직접 들어 갈 의사가 있느냐”고 물었습니다.
이에 대해 아베 전 총리는 “특사 파견보다는 모든 대북 외교를 정부로 일원화해야 최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고 말하면서 “후계자인 김정은에게 핵과 미사일, 납치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여 일본과 국교정상화를 하지 않는 한 북한의 미래는 없다는 사실을 인식시켜 줄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덧붙였습니다.
일본의 한반도 문제 전문가들은 북한에 조문 사절단이나 대표단을 파견할 경우 2002년 9월과 2004년 5월 두 차례에 걸쳐 북한을 방문한 고이즈미 준이치로 전 총리가 가장 적임자라고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고이즈미 전 총리는 19일 밤 일본 기자단에 “김정일 위원장이 살아 있을 때 북일 국교정상화 교섭이 매듭지어지길 바랐으나 대단히 유감이다”라고 애도의 뜻을 표명하면서 “김정일 위원장 사망이후 북한이 크게 변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노다 요시히코 총리는 한국의 이명박 대통령에 이어 20일 낮 미국의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전화로 회담한 후 “김정일 사후에 전개될 북한 사태에 한미일 3국이 연대해서 대처해 가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했으나, 일본의 구체적인 대북 정책의 향방에 대해서는 아직 일체 입을 열지 않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