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사망에도 불구하고 미국과 북한이 대북 식량지원과 우라늄 농축 시설의 잠정 중단을 골자로 한 양국 간 협의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 의회를 중심으로 현 시점에서 북한에 식량을 제공하는 데 대한 반대 여론도 만만치 않습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과 북한이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갑작스런 사망에도 지난 주 중국 베이징에서 이뤄진 양국 간 식량지원과 우라늄 농축 잠정 중단에 관한 합의를 이어가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비록 곡물이 아닌 영양지원이라고 하지만 북한에 식량 지원을 약속하고 핵문제 해결을 위한 협상을 재개하는 데 대한 거부감이 미국 의회 내에 여전히 강한 상태라고 한 미국 의회 관계자가 21일 RFA,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이 의회 관계자는 이미 수확기가 지난 상태여서 국제기구조차 북한의 식량사정이 최악을 벗어났다고 평가하고 있는 상태에서 미국 정부가 뒤늦게 대북 식량지원에 나선다는 게 이해되지 않는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익명을 요구한 이 의회 관계자는 행정부가 대북 식량지원을 강행하려 한다면 사실 의회가 이를 막을 방안은 딱히 없다고 털어놨습니다.
하지만 만에 하나 지원된 식량에 대해 전용 의혹이 제기될 경우 책임 문제가 불거질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이 의회 관계자는 국무부 발표대로 대북 식량지원에 대해 완전히 결론이 나지 않은 듯하다며 행정부로부터 아직 공식 통보를 받거나 논의한 적은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미국 워싱턴의 외교전문 잡지인 ‘포린 폴리시’도 이날 대북 식량지원과 우라늄 농축 잠정 중단을 통한 6자회담 재개를 골자로 한 미국과 북한 간 잠정 합의가 공식 발표되면 워싱턴에서 논란이 일 전망이라고 보도했습니다.
이 잡지는 식량지원 결정이 대북정책과 무관하게 오직 인도적 고려에 따라 이뤄진다는 게 국무부의 입장이지만, 미국 의회가 이번 합의를 행정부의 설명 대로, 단지 우연의 일치로만 보려 하진 않을 것이라며 이같이 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