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 고어 전 부통령 방북은 시기상조"

앨 고어 전 미국 부통령이 북한에서 재판을 받은 미국인 여기자의 석방을 위해 북한을 방문할 가능성이 크지만 실제 방북이 성사되기까지 다소 시간이 걸릴 전망입니다.

노정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정부는 북한에 억류돼 재판을 받은 미국 여기자의 석방을 위해 방북할 인사로 앨 고어 전 부통령이 적합한 인물이라는 입장을 정리해 왔다고 워싱턴의 외교 소식통은 전했습니다.

이 소식통은 미국 정부가 여기자들의 소속사인 커런트 TV의 설립자, 고어 전 부통령의 방북을 염두에 두고 있지만 북한 측과 아직 이에 관한 협의나 조율을 하지 않아 그의 방북이 단지 미국 측의 입장에만 머물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북한 측에서 이에 대한 긍정적인 입장을 미국 측에 전달하지도 않았기 때문에 고어 전 부통령의 방북이 금방 이뤄지기보다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워싱턴에서는 전망한다고 이 소식통은 덧붙였습니다.

이언 켈리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4일 여기자들의 석방을 위해 고어 전 부통령이 북한을 방문하느냐는 질문에 이를 부정하지 않아 방북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국무부의 다른 고위 관리는 주말을 이용해 고어 전 부통령이 북한을 깜짝 방문할 예정인지를 묻는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알지 못하는 내용"이라고 부인했습니다.

국무부의 정책기획국장을 지낸 미첼 리스 윌리엄 앤 매리 법과대학 교수도 고어 전 부통령의 이른 방북설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나타냈습니다. 고어 전 부통령이 북한을 방문한다면 미국과 북한 간 사전 조율이 있어야 하는데 현재까지 이런 준비가 없다는 설명입니다.

Mitchell Reiss: 미국과 북한 간 진전된 조율과 준비가 있기 전에 앨 고어 전 부통령의 이른 방북은 회의적입니다. 또 최근까지 미국과 북한 간 어떠한 사전 조율도 없다고 알고 있습니다.

빅터 차 전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 아시아담당 국장도 워싱턴 포스트의 칼럼에서 여기자의 석방을 위해 고어 전 부통령을 대북 특사로 보내는 방안을 제시했지만 고어 전 부통령이 이번 주말에 방북하는 데는 회의적인 입장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 북한의 2차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에 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안과 미국 정부의 단독적인 금융 제재가 논의 중이고 북한에서 여기자의 재판에 대한 결과가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고어 전 부통령의 방북은 시기상조라고 워싱턴의 한반도 전문가들은 전망했습니다.

미국 브루킹스 연구소의 마이클 오핸런 선임 연구원도 고어 전 부통령의 이른 방북에 회의적인 견해를 나타냈습니다.

오핸런 연구원은 북한이 여기자의 석방 문제를 미국과 북한 간의 협상 창구로 이용하려는 의도가 큰 상황에서 고어 전 부통령이 여기자 문제 외에 북한에서 논의할 수 있는 현안의 폭은 좁다고 주장했습니다.

따라서 북한이 고어 전 부통령보다는 더 영향력이 높은 인사의 방북을 원할 수도 있기 때문에 고어 전 부통령의 방북이 결정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수도 있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Michael O' Hanlon: 앨 고어 전 부통령이 북한을 간다면 북한은 여기자의 석방 외에 다른 현안을 논의하고 싶겠죠. 하지만 고어 전 부통령은 현재 오바마 행정부의 관리도 아니고, 지금은 백악관을 나온 전 부통령인데요, 정치적 관계가 다소 떨어지죠. 논의의 폭은 넓지 않을 겁니다.

국무부의 필립 크롤리 공보담당 차관보는 5일 정례 기자회견에서 북한이 미국 여기자에 대한 재판을 계속 진행하고 있다며 고어 전 부통령의 방북에 관해서는 아무런 정보가 없다고 답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