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한국 정부가 최근 들어 대북 민간지원 단체 관계자들의 북한 방문을 잇따라 허용하고 있습니다.
5.24대북제재 조치 1년이 지나면서 한국 정부의 방북 승인이 유연해졌다는 평가입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대북 민간지원 단체의 방북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남북관계를 총괄하는 한국의 통일부는 30일 방북 신청 2건을 승인한데 이어 31일에도 4건을 더 승인했습니다.
6월 1일에는 어린이어깨동무와 남북경제문화협력재단이 방북할 계획입니다.
올 들어 대북 민간지원 단체의 방북은 모두 12건 밖에 안 되지만, 이 처럼 거의 대부분이 최근 들어서 승인이 난 겁니다.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평화나눔센터 이종무 소장입니다.
이종무
: 한국 정부가 5.24조치 1년이 지난 시점에서 민간 지원에 대해서 빗장을 푸는 것 같고요. 물론 5.24조치 이전과 비교하면 여전히 부족합니다.
사실 대북 민간지원 단체 관계자들의 북한 방문은 지난해 11월 북한의 연평도 포격사건 이후 엄격히 차단돼 왔습니다.
그러나 4월 들어 한국 정부는 선별적으로 승인하기 시작했습니다.
통일부 천해성 대변인입니다.
천해성
: 인도적 지원과 관련해서는 개별적으로 그 사업의 목적, 취지, 타당성, 5.24 조치의 틀이 유지되는 가운데 개별적으로 방북신청에 대해서 검토를 하고 있고, 잘 아시는 바와 같이 일부 몇 건은 방북 승인된 것이 있고 불허된 것도 있습니다.
대북 민간지원 단체의 북한 방문은 대부분 개성 지역입니다.
주로 북측 민화협 관계자들을 만나 지원 방법과 절차 등을 협의합니다.
최근엔 대북 식량지원에 대한 논의도 있습니다.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이종무 소장입니다.
이종무
: 저희 단체와 범민족화해협력협의회(민화협), 그리고 종교계가 공동으로 대북 식량 지원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한편, 한국 정부는 사회문화 교류를 위한 방북에 대해선 여전히 금지하고 있습니다.
최근 ‘6.15 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가 통일부에 방북 신청을 했지만 불허 방침을 통보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