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지방 아파트 건설 잇따라 중단

0:00 / 0:00

앵커 : 북한당국이 평양시 '10만 세대 살림집 건설'에 실패한데 이어 지방에서 벌려놓았던 아파트 건설사업도 지지부진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무슨 문제때문인지 문성휘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북한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가 후계자 시절인 2009년에 직접 발기하고 진두지휘한 평양시 ‘10만 세대 살림집건설’은 완전히 실패한 것으로 판가름이 났으며 이에 관한 많은 보도들이 나왔습니다.

공사마감 기간으로 정한 2012년을 훌쩍 넘기면서 북한 당국은 ‘10만 세대 살림집 건설’이라는 말도 슬그머니 거두어 들였는데요. 평양시 ‘10만 세대 살림집 건설’에 호응해 2009년, 북한의 각 지방 도시들에서 벌어졌던 아파트 살림집들도 기본 골조공사조차 끝내지 못한 채 건설이 대부분 중단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와 관련 함경북도의 한 소식통은 “평양시 ‘10만 세대 살림집 건설’과 마찬가지로 청진시 ‘1만 세대 살림집 건설’도 실패했다”며 “아파트 입사문제로 하여 이미 2012년 말부터 건설이 중단된 상태”라고 최근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북한은 2012년 5월, 힘 있는 간부들에게 ‘만수대 지구’ 아파트 입주권을 우선적으로 주어 평양시 주민들의 큰 반발을 불러 왔다고 소식통은 덧붙였습니다. 사태가 확산되자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가 ‘만수대 지구’ 아파트 입주권을 노동자들과 국가공로자들에게 우선적으로 공급할 데 대해 직접 지시했다고 그는 말했습니다.

김정은 제1비서의 지시에 따라 북한 당국은 전국적으로 벌어지고 있는 아파트 건설을 전면 재검토하고 공로가 있는 노동자들과 전쟁노병들, 혁명가 유가족(국가유공자)들에게 입사증을 주도록 했었다는 게 그의 설명입니다.

이와 관련 양강도의 소식통도 1일, “혜산시 위연지구에 짓던 2천 세대 아파트 건설도 중단됐다”며 “건설 중에 있던 5동의 아파트는 이미 계획된 12층에서 6층이나 5층으로 축소해 마무리를 지었다”고 말했습니다.

지방 아파트의 경우, 국가적으로 자재가 지원되지 않기 때문에 돈 있는 사람들이 투자해 건설하는 방식인데 그러자면 투자된 돈을 회수할 수 있도록 투자자들이 아파트를 개인들에게 팔 수 있게 해줘야 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북한 당국이 투자자들의 돈으로 건설된 아파트를 공로자나 돈 없는 사람들에게 무상으로 공급하면서 투자자들은 숱한 돈만 날리고 모두 물러났다는 얘기입니다.

함경북도의 또 다른 소식통도 “청진시뿐 아니라 단천, 함흥을 비롯해 지방에서 건설되던 아파트 공사가 중단됐다”며 “개인들이 돈을 투자해 지은 아파트를 국가가 모두 빼앗아 가는 상황에서 더 이상 건설에 투자하려는 사람이 없기 때문”이라고 그 원인을 진단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