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북한이 유엔 제네바 군축회의에서 순회 의장국을 맡은 데 대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유엔 개혁의 필요성이 제기되는가 하면 군축회의 참여 자체를 거부한 데 대한 찬반 논란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일레나 로스-레티넌 미국 하원 외교위원장은 12일 성명을 통해 캐나다 정부가 북한이 의장국으로 있는 동안 유엔 제네바 군축회의 참여를 거부한 데 대해 “책임있는 (국제사회의) 지도국가임을 명백히 증명해보였다”면서 극찬했습니다.
로스-레티넌 위원장은 “캐나다가 더 나은 유엔을 바라는 모든 이들의 감사와 성원을 받을 자격이 있다”며 이같이 말하고, 실질적인 유엔 개혁을 거듭 촉구했습니다.
그는 지난달 29일에도 북한이 제네바 군축회의 순회 의장국이 되자마자 곧바로 성명을 통해 북한이 “핵무기를 개발중인 상습적인 무기 확산국”이라며 이를 “고양이에게 생선가게를 맡긴 꼴”이라고 강하게 비난하기도 했습니다.
앞서 존 베어드 캐나다 외무장관은 지난 11일 북한이 군축회의 의장국을 맡게 된 것이 터무니 없다며 북한의 순회 의장국 임기가 끝나는 다음 달 19일까지 대표단을 보내지 않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습니다.
핵무기와 미사일 개발을 계속해온 북한이 무기 감축 문제를 다루는 유엔 군축회의의 의장국이 된 데 대해 회의 참여 거부를 통해 강한 반대 의사를 나타낸 겁니다.
하지만 반론도 만만치 않습니다. 북한이 순서에 따라 의장국을 맡았을 뿐인 데 군축회의 자체를 거부할 필요까지 있느냐는 겁니다.
13일 캐나다의 한 외교 관련 잡지는 캐나다 정부의 이번 군축회의 참여 거부 결정에 전직 외교관들도 의견이 나뉘고 있다며 이같은 분위기를 전했습니다.
이 잡지에 따르면, 군축 관련 분야에서 일했던 캐나다의 한 전직 고위 외교관은 “비핵화가 목표인 상태에서 핵무기를 포기하도록 설득해야 할 대상 국가를 회의에서 제외한다면 우리만 손해”라며 정부의 정책에 실망스럽다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이 전직 대사급 외교관은 캐나다가 올 초 군축회의 순회 의장을 맡았던 점을 감안하면 의제 선정 등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기회를 스스로 차버렸다고 지적했습니다. 65개 회원국이 4주씩 돌아가면서 의장국을 맡게 되는 제네바 군축회의는 그 해 순회 의장국을 맡는 나라들이 의제 선정을 포함해 사실상 회의를 공동으로 운영한다는 겁니다.
앞서 미국 국무부도 지난 11일 정례회견에서 북한이 제네바 군축회의에서 순회의장국을 맡은 데 대해 특별한 문제 제기를 할 계획이 없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