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북한 양강도 사법당국이 원인 모를 화재 사건들로 골머리를 앓고 있습니다. 주민들에게 각성할 것을 촉구하면서 적대분자 색출에 협조해 달라고 요청하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문성휘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 양강도 보위부와 검찰소는 최근 원인을 알 수 없는 방화사건들에 대해 내부 적대분자들의 책동으로 결론을 짓고 주민들속에 경각심을 높일 것을 당부하고 나섰습니다.
7일 ‘자유아시아방송’과 통화한 북한 양강도 소식통은 “요새 원인을 알 수 없는 화재로 살림집들이 여러 채 불타면서 보위부와 검찰이 수사에 총 동원되고 있다”며 “하지만 사건의 단서를 찾기 어려워지자 ‘내부 적대분자들의 책동’이라고 선전하고 있다”고 비난했습니다.
이에 대해 복수의 양강도 소식통은 최근 일어나고 있는 화재사건들이 “누구인가 우리 제도에 앙심을 품은 자의 소행이 틀림없다”며 “‘고난의 행군’시기에도 이와 꼭 같은 방화사건들이 매일 같이 일어났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이번 화재사건들 때문에 도당에서 조직한 기관장들의 회의에서도 ‘내부 적대분자들의 준동에 경각성을 높일 데 대해 강조했다’”며 “보위부와 보안서 담당 주재원들이 인민반장들을 만나 주민들의 동태를 일일이 조사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양강도 사법당국이 최근 연이은 방화사건을 ‘내부 적대분자들의 준동’으로 몰아가는 것은 이러한 사건들이 모두 민감한 시기에 발생했고 방화수법도 비슷하다는 점에 무게를 두고 있기 때문으로 알려졌습니다.
소식통들에 의하면 지난 3월 11일, 혜산시 강구동에서 5세대가 모여 사는 다가구 주택이 자정이 훨씬 지난 시간에 갑자기 불타버리는 사건이 발생했으나 사법당국은 끝내 원인을 밝혀내지 못했습니다. 다만 화재가 건물의 좌우에서 동시에 발생했고 순식간에 살림집들을 삼켰다는 점에서 누구인가 치밀한 계획 밑에 단행한 범죄로 판단했습니다.
당시 사법당국은 ‘화폐개혁’으로 인해 장마당에서 쌀값이 천원으로 치솟는 등, 주민들의 불만이 극도에 달했던 시기였음을 감안해 원한관계에 의한 방화가 아닌, 사회제도에 불만을 품은 자의 범행으로 결론을 내렸습니다.
이후 혜산시 춘동 일대를 비롯한 여러 지역들에서 한밤중에 화재사건들이 꼬리를 물었지만 다행히 주변에 사람들이 많아서 큰 불로 번지지는 않았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다시 방화사건이 사법당국의 주목을 받게 된 것은 지난 4월 17일, 혜산시 혜산동에서 일어난 아파트 대형 화재사건 때문이었습니다. 화재가 난 건물은 혜산청년역 앞에 위치한 ‘약국아파트’로 불리는 5층짜리 건물로 이곳에는 70가구가의 주민들이 모여 살았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특히 이 화재는 김일성의 생일놀이로 ‘특별경비주간’이 선포되었던 지난 4월 16일, 밤 12시 경에 발생한 것으로 하여 사법당국이 정치적 범죄로 간주하고 범인색출에 안간힘을 쏟았습니다. 소식통들은 “불길은 아파트 밑 창고들에서 연쇄적으로 발생해 아파트 전체에 번졌다”면서 “그러나 사건현장에서 어떤 증거도 찾아내지 못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최근 방화사건이 주민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것은 지난 1998년 ‘고난의 행군’시기, 대량아사사태에 불만을 품은 주민들이 무차별적인 방화를 저질렀던 기억 때문입니다. 당시 그러한 범죄로 하여 양강도 예술극장과 도 인민위원회 사무처건물이 완전히 소각되었고 도처에서 ‘김일성혁명사상연구실’ 건물들이 불타버리는 사건들이 끊이질 않았습니다.
양강도 사법당국도 이런 이유 때문에 최근 방화사건이 사회 불만 세력들의 동조범죄로 전국에 확산될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면서 주민들의 경각심에 호소하고 있다는 것이 현지 소식통들의 전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