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아름 기자가 보도합니다.
버마 외무부의 고위 관리가 지난주 버마 주재 김석철 북한 대사를 외무부로 직접 불러 "강남호가 무기류를 포함해 유엔이 금지한 물질을 싣고 있다면 버마의 어떤 항구에도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겠다"는 입장을 통보했다고 버마의 현직 관리가 26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밝혔습니다.
익명을 요구한 이 버마 외무부 소속 관리에 따르면 외무부 교육, 연구, 외국어 담당 국장인 포 르윈 세인(Paw Lwin Sein) 대사는23일 버마의 새 수도 내피다우에서 김석철 대사에게 " 버마 당국이 직접 버마의 영해상에서 강남호를 수색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이같이 통보했습니다.
세인 대사는 이어 꼭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만 한해 "버마에 주재한 다른 외교 공관의 협조를 받아 수색하겠다"고 김석철 대사에게 말했다고 이 외교관은 전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세계의 언론을 비롯한 국제 사회가 북한의 강남호 문제에 비상한 관심을 보이고 있어 버마 당국이 부담을 느꼈을 수 있다고 버마 정부의 전 군정보부 산하 방첩부에서 정보 장교를 지냈고 현재 미국에서 언론인으로 활동하는 앙 린 톳 씨는 설명했습니다. 다시 말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새로운 대북 제재 결의1874호에 따라 북한의 강남호와 선박 수색이라는 대북 제재에 대해 국제 사회의 관심이 뜨겁다는 설명입니다.
한편, 문제의 '강남호' 가 2007년에도 버마에 도착했을 당시 서방 외교관들은 강남호가 미사일 부품을 싣고 버마에 도착한 것으로 의심했지만 버마 군사정권은 '검색해보니 대량 살상무기는 전혀 없었다'는 식으로 발표하고, 면제부를 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이번 강남호의 문제는 북핵과 국제 사회의 새로운 대북 제재로 2007년과는 상황이 달라 버마 정부에 더 압력을 줬다는 게 톳 씨의 설명입니다.
일각에서는 이번 유엔 안보리의 대북 제재 결의 1874호에 중국과 러시아도 동참하고 있으며, 버마의 주요 교역국인 한국과 일본도 버마에 압력을 줬을 수도 있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
또, 버마 당국은 강남호에 실제로 불법 무기가 적재됐다고 확인할 경우 유엔 안보리의 결의에서 '의무 조항'인 14항에 따라 이를 압류 처분하고 그 결과를 안보리 제재위원회에 보고하도록 돼 있습니다.
한편, 유엔의 반기문 사무총장은 버마의 민주화를 촉구하기 위해 이번주 버마를 공식 방문할 예정이라고 AFP 통신은 29일 보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