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당국이 겨울철 대형 교통사고가 잇따르자 교통질서 확립을 강조하는 포고문을 내리고 차량 통행금지시간을 어긴 간부들의 직무용(업무용)차량을 대거 회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에서 김준호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북한당국이 차량 통행금지 시간을 어긴 간부들의 직무용 차량을 대거 회수하는 고강도 조치를 내린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최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이 소식을 전한 평안북도 주민소식통은 “1월 한 달 동안만 수십 명의 사상자를 낸 대형교통사고가 전국적으로 4건이 있었다”면서 “이로 인한 탓인지 ‘교통질서 및 해양출입질서를 바로잡을 데 대하여’라는 인민보안부 포치(지시문)가 지난주에 내려졌다”고 전했습니다.
포치가 내려진 이후 곧이어 차량 통행금지시간을 어긴 간부들의 직무용(업무용) 차량이 회수됐고 이로 인해 차량을 회수당한 간부들이 어떤 후속 처벌이 있을 것인지를 두고 불안해 하고 있다는 겁니다.
차량 통행금지시간이란 “일요일과 국가명절 등의 휴식일과 평일 오후 6시 반부터 다음날 아침 8시 반까지”라고 설명한 소식통은 “지금까지 간부들이 이 같은 차량 통행금지시간을 무시하고 차량을 운행한 것은 관행처럼 여겨져 왔었다”고 지적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이 같은 고강도 조치가 내려진 것은 연이은 대형 교통사고에 김정은 원수님이 단단히 화를 낸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1월 한달 동안만 수십 명의 사상자를 낸 대형교통사고가 평안북도 태천, 량강도 혜산, 평양과 이밖에 생각나지 않는 또 다른 곳이 각각 있었는데, 그 중에서 가장 큰 사건은 민방위훈련을 마친 사람들을 태우고 돌아오다가 벼랑으로 굴러 떨어진 태천 사고”라면서 “이 사고로 인해 40명이 넘게 사망했고 수십 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고 전했습니다.
직무용 차량 회수와 관련해서 소식통은 “회수된 직무용 차량 중에는 중견 간부들이 이용하는 오토바이도 상당수 포함되었다”고 덧붙였습니다.
인민보안부 포치(지시문)의 내용 중 ‘해양출입질서’에 관해서는 “어선 출어 허가 등의 업무에서 뇌물을 받고 (출어)승인을 내주는 관행에 쐐기를 박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관련 탈북자 이모 씨는 “간부들의 대대적인 직무용 차량 회수는 김정은의 간부 길들이기 차원의 성격이 큰 것 같다”면서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다시 돌려주긴 하겠지만, 해당 차량을 사용하는 간부들 중 일부는 혁명화에 가게 될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차량운행이 많지 않은 북한에서 겨울철 교통사고가 자주 나는 것에 대해 북한을 자주 드나드는 대북 소식통들은 “산간 지방도로는 대부분 길이 좁고 급 커브지역이 많은데다, 특히 겨울철에는 길이 얼어 차량이 미끄러져 벼랑으로 굴러 떨어지는 사고가 빈번하다”고 증언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