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김정일 위원장 사망을 계기로 북-중 국경연선에서 전례 없이 강화된 중국휴대전화 전파교란행위에 중국 공안당국이 개입되어 있다는 주장이 북한 주민들로부터 제기됐습니다. 하지만 중국 현지 주민들은 이러한 주장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자세한 소식, 문성휘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최근 전화연계를 가진 북한 주민들은 중국과의 국경연선에서 빈발하고 있는 휴대전화 방해전파가 중국 공안당국에 의한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함경북도의 한 소식통은 “휴대전화 방해전파가 너무 심해 도무지 중국과 전화연계를 할 수 없었다”며 “1월 10일이 지난 후부터는 방해전파가 좀 약해지기 시작했다”고 전했습니다.
양강도의 소식통도 “중국 휴대전화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기술적 대책을 취하라는 김정은의 지시가 내린 것으로 알고 있다”며 “우리(북한)쪽은 장비부족과 전기사정이 좋지 않아 중국 쪽에서 대신 방해전파를 쏘아주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구체적인 증거가 있느냐는 질문에 함경북도 소식통은 ‘보안원’들이고 뭐고 모두 그렇게 말하고 있다며 그전(김 위원장 사망 이전)에도 우리 쪽에서 방해전파를 쐈지만 이렇게 24시간 연속으로 쏘지는 못했다고 언급했습니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장례가 치러진 29일부터 북-중 국경연선에서는 강력한 방해전파가 발생해 중국휴대전화를 사용하는 북한 주민들은 물론 국경연선에 사는 중국 주민들도 상당한 불편을 겪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의 경우, 지난 시기에도 휴대전화 방해전파를 쏘았지만 전력사정으로 인해 5분간의 간격으로 몇 십초씩 쏘고 중단하기를 반복했다고 합니다. 그나마 전력사정이 좋을 때에는 방해전파가 효력이 있었지만 장시간 정전이나 급작스러운 정전 상태에서는 아무런 효력도 없었다고 소식통들은 지적했습니다.
그러나 이번 방해전파는 북한에서 정전사태가 계속되는 상황에서도 24시간 연속으로 이어지고 있는데다 방해전파 강도도 전례 없이 높아 가까운 중국지인들과의 연계도 불가능했다고 그들은 말했습니다. 중국의 협조가 없다면 이런 전파장애가 도무지 불가능하다는 주장입니다.
한편 이 같은 사실의 확인을 요청받은 중국 측 소식통들은 북한 주민들의 이러한 주장에 대해 대부분 부정적이었습니다.
중국 지린성 창바이현의 한 소식통은 “조선(북한) 쪽 사람들이 자꾸 그런 말을 하는데 도무지 믿을 수가 없다”며 “방해전파를 쏘면 중국 사람들도 피해를 보게 되는데 왜 (중국)공안이 그런 짓을 하겠냐”고 반문했습니다.
연변 조선족자치주 룽징시 개산툰진에 사는 조선족 주민은 “우리도 방해전파 때문에 집 전화(유선전화)밖에 사용 못 한다”며 “중국 공안이 그럴 리가 없다”고 잘라 말했습니다.
하지만 그는 북한 당국이 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방해전파로 하여 북-중 국경일대 중국주민들도 불편이 이만저만이 아니라며 이런 상황을 수수방관하고 있는 중국당국의 행태에 대해 불만이 많다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김 위원장 장례가 끝난 다음날인 12월 30일, 후계자 김정은이 국경연선 주민들이 중국기지국을 이용한 불법휴대전화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강력한 ‘전파그물’을 치라고 국가보위부에 지시했다는 것이 북한 내부 소식통들의 주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