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국경연선 지역 검열 시작

0:00 / 0:00

앵커 : 북한 사법당국이 범죄자 소탕을 위한 '100일 전투'에 진입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국가안전보위부가 주도하는 이번 '100일 전투'의 목적은 마약과 불법영상물, 조직적인 매음행위를 색출해내는 것이라고 소식통들은 전했습니다.

북한 내부소식 문성휘 기자가 보도합니다.

국가안전보위부가 주도하고 다른 사법기관들이 협조하는 ‘100일 전투’가 15일 북한 전역에서 일제히 시작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국경연선지역들에는 ‘합동검열대’가 파견돼 전과기록이 있는 주민들을 재조사하고 있다고 소식통들은 언급했습니다.

이와 관련 15일 함경북도의 한 소식통은 “오늘부터 모든 사법기관들이 범죄자 소탕을 위한 ‘100일 전투’에 들어갔다”며 “‘100일 전투’기간 체포돼 범죄가 입증된 사람들은 ‘시범겸’으로 처벌 받는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시범겸’ 처벌은 주민들속에 공포감을 조장해 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북한 사법당국의 ‘본보기’식 처벌방법인데 ‘시범겸’에 걸린 범죄자들은 같은 죄를 지었다고 해도 평시보다 3~4배 이상 높은 형벌에 처해진다고 소식통은 설명했습니다.

‘100일 전투’ 기간 사법기관들은 북한의 4대 범죄인 마약, 도박, 밀매(성매매), 불법영상물을 단속한다고 그는 이야기했습니다. 국경연선 지역의 경우 특별히 밀수와 불법휴대전화 사용이 더 포함돼 있다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같은 날 양강도의 한 소식통도 “올해 사법기관 ‘100일 전투’는 국가보위부가 주도하고 다른 기관들이 협조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며 “국가보위부가 중심이 되기 때문에 다른 해에 비해 범죄소탕 강도가 매우 높을 것”이라고 예고했습니다.

특히 국경연선 시, 군들에는 국가보위부와 인민보안부 정치대학 학생들로 조직된 ‘합동검열대’가 특별히 파견됐다고 소식통은 말했습니다. ‘합동검열대’는 지난해 9월부터 제기된 범죄 자료들을 전면적으로 재조사하고 있다고 그는 강조했습니다.

한편 최근 연락이 닿은 양강도의 또 다른 소식통은 “지난 2008년부터 모든 사법기관들이 새해를 맞으며 범죄자 소탕을 위한 ‘100일 전투’를 정기적으로 벌려왔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이야기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100일 전투’는 3월말에 마무리 돼 제 기간을 채우지 못한다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흔히 ‘100일 전투’기간엔 범죄율이 눈에 띄게 줄어들어 사법기관들이 대규모의 수사에 나설만한 사건들이 별로 없다는 게 그의 설명입니다.

그러나 소식통들은 “국가보위부가 주도하는 것으로 봐서 자칫 올해 ‘100일 전투’의 초점이 반당, 반간첩 투쟁이 될 수도 있다”며 “국경연선 지역들에서 ‘100일 전투’ 기간 중에 예상을 뛰어넘는 살벌한 검거선풍이 일어날 수도 있다”고 우려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