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탈북 방조자 색출위한 집중 검열

0:00 / 0:00

MC:

북한당국이 지방주권선거를 치른 직후부터 국경연선 경비대들에 대한 집중 검열에 착수했습니다. 선거기간동안 빈발했던 주민들의 탈출을 막지 못한 책임추궁이 예상돼 국경 경비대 군인들이 공포에 싸여있다고 합니다.

자세한 소식 문성휘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북한당국이 군부 사정기관인 ‘보위총국’을 내세워 양강도 주둔 국경경비대에 대한 긴급 검열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선거기간 동안 주민들의 탈북을 방조한 협력자들을 색출하기 위해서라고 하는데요.

특히 지난 2월, 주민들의 탈북을 방조하거나 외부의 적대세력과 연계가 있는 자들을 최고의 엄벌에 처한다는 국방위원회 명령이 각 국경경비대와 해안경비대에 하달된 이후 종합적인 검열은 처음이라는 것입니다. 때문에 이번 검열에 걸릴 경우 최고 사형까지 받을 수 있다는 소문이 돌며 국경경비대 내부에는 전례 없는 공포감이 흐르고 있다고 현지 소식통들이 전해왔습니다.

27일 연락이 닿은 양강도 소식통은 “선거기간에 압록강을 건너 중국으로 도주한 사람들이 많았다”며 “그들을 넘긴 자들을 기어이 잡아내라는 지시가 내리면서 국경경비대에 검열이 붙었다”고 밝혔습니다.

북한 당국은 6월 20일부터 7월 24일까지를 선거기간으로 정하고 이 기간을 특별경비주간으로 선포했다고 합니다. 국경경비대도 특별경비에 들어갔기 때문에 그들의 방조가 없이는 압록강을 넘는 것이 불가능 했다는 것입니다.

소식통에 따르면 ‘보위총국’ 검열대는 선거가 끝난 다음날인 25일 아침, 혜강동 제지공장 주변에 위치한 국경경비대대와 연풍동 철다리 주변에 주둔하고 있는 국경경비대대에 검열성원들을 급파하고 소대장과 부소대장, 분대장들의 임무를 당분간 정지시켰다고 합니다.

이들 경비대대들이 특별히 검열을 받는 것은 지난 6월30일과 7월12일 사이에 이들의 관할구역에서 가족들을 동반한 탈북사건이 3건이나 발생했기 때문이라고 소식통은 증언했습니다.

양강도의 또 다른 소식통도 “보위사령부가 경비대 신입병사들을 상대로 무기명 진술서를 받아내고 있다”며 “진술서의 내용에 따라 군관들과 구대원들이 무리로 구속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일단 구속된 병사들이나 군관들은 가혹한 고문을 받기 때문에 자기 잘못을 고백하지 않고는 견뎌내지 못할 것이라고 그는 언급했습니다.

한편 25일, 함경북도 회령시 소식통도 선거기간에 회령시에서만 다섯 가족, 모두 17명의 주민들이 중국으로 탈출했다고 전했습니다.

이와 관련 북한 주민들을 구출하는 단체에서 활약하고 있는 탈북자 정모씨는 “선거기간 중에도 주민들의 탈북이 계속 됐다”면서 자신이 직접 선거기간동안 탈북한 북한 주민 11명을 중국에서 제3국으로 피신시켰다고 밝혔습니다.

지방주권선거에 많은 주민들이 불참함으로써 북한당국의 발표와 달리 “사상 최악의 선거를 치뤘다”는 내부 소식통들의 증언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모든 선거에서 투표율 백 퍼센트와 백 퍼센트 찬성을 자랑해온 북한 당국이 국경경비대에 대한 강도 높은 검열을 단행함으로써 이번 선거의 책임을 들러 싼 희생양이 나올 수 있다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