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조-중 접경 무역도시 단둥(단동)시가 북한과의 무역에서 중국 위안화 결제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어떤 내용인지 중국의 김준호 특파원이 정리 했습니다.
북한과의 최대 무역 도시 중국 단둥시 정부는 2010년 8월19일부터 북한과의 무역에서 위안화결제 시범사업을 실시중이라고 지난 12일 남한의 ‘대한무역진흥공사(KOTRA)’가 밝혔습니다.
단둥에서 위안화 결제가 허용되는 무역 대상국은 북한뿐이며 ‘단둥 해관’과 ‘태평만(太平灣)해관’을 통하는 무역에만 해당됩니다. 태평만 해관은 단둥에서 압록강 상류 쪽으로 약 40km 정도 떨어진 북한의 평안북도 의주군과 마주하고 있는 해관으로 단둥해관의 관리감독을 받고 있는 작은 해관입니다.
중국기업이 북한으로부터 수입하는 물품과 서비스에 대한 대금을 위안화로 결제 할 수 있지만 수출의 경우, 수출대금을 위안화로 받는 것은 단둥시 정부가 시범기업으로 지정한 업체에만 해당됩니다.
이번 조치에 따라 단둥 소재 중국 수출시범 기업들은 위안화로 수출대금을 받을 수 있어 환율변동의 위험을 낮출 수 있고 수출 할 때 부담해야 하는 ‘수출 증치세’ 환급에서도 우대받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최근 중국은 위안화의 위상제고 등을 목적으로 무역대금의 위안화 결제 지역을 확대하는 추세이고 단둥의 대북무역 결제 시범사업은 이런 목적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이 같은 목적 외에도 위안화 결제허용을 통해 접경지역의 불법적인 위안화 거래를 합법화함으로써 불법무역거래를 줄이고자 하는 목적도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중국 재정부와 국가세무총국은 금년 3월 29일 변경지역 일반무역 및 소액무역 거래에 있어 위안화 결제 및 수출 증치세 환급에 대한 통지를 내린바 있습니다.
이 통지에 따르면 중국의 8개 성 및 자치구의 85개의 변경 지역에서 위안화 결제를 허용하고 위안화 결제 대상국으로는 북한과 러시아 등 14개 국가를 지정했습니다.
이어서 금년 6월에는 위안화 결제 시범도시를 료녕성(랴오닝) 등 20개 성시로 확대하고 대상 국가를 세계 전 국가와 전 지역으로 확대하였습니다.
2009년 북-중간 교역액 27억 달라 중 약 70%를 차지 할 정도로 북한과의 무역비중이 큰 단둥시는 북한과의 무역에 있어 위안화 결제시범 지역으로 지정됨으로써 북-중 무역거래에 있어 위안화 결제 비율이 점차 늘어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나 단둥의 대북 무역상들은 단둥시와 북한간의 위안화 결제 조치는 중국의 수출 기업에는 유리하지만 중국제품을 수입해야 하는 북한 측에서는 미 달라화를 중국 위안화로 환전해야 하는 번거로움에다 특별한 이점이 없기 때문에 얼마나 활성화 될지 아직은 미지수라고 지적합니다.
중국은 국제무역에서 위안화를 기축통화로 키우기 위한 야심찬 계획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번 조치도 관련 작업의 일환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