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천안함 사건을 조사한 민군 합동조사단이 다음주 초 유엔에서 안전보장이사회 이사국을 대상으로 침몰 원인에 대한 설명회를 개최할 계획이지만 이 사건에 대한 안보리 조치에 큰 영향을 미칠 중국은 여전히 천안함 침몰이 북한의 소행이라는 한국 측 입장에 동조할 기색을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자세한 소식을 양성원 기자가 전합니다.
유엔 주재 한국대표부의 외교 관리는 10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한국의 민군 합동조사단이 9일 밤 뉴욕에 도착했으며 현재 14일이나 15일 유엔 안보리 15개 이사국을 대상으로 천안함 침몰 원인에 대한 비공개 설명회를 개최하기 위해 일정을 조율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 관리는 늦어도 11일까지는 설명회 일정이 확정될 수 있을 것이라면서 한국 정부는 시간이 걸리더라도 천안함 사건에 대한 안보리의 내실 있는 대응을 이끌어내기 위해 천안함 사건을 북한 소행으로 인정하는 데 유보적인 태도를 보이는 중국과 러시아 등 안보리 이사국을 설득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중국 정부는 10일 외교부 대변인을 통해 ‘천안함 사태에 유엔 안보리가 개입하는 문제를 신중하게 처리하길 희망한다’는 공식 입장을 밝혀 유엔 안보리에서 이 사건이 논의되는 상황 자체에 거부감을 드러낸 것으로도 분석되고 있습니다.
워싱턴의 한 외교 소식통도 한국 정부가 유엔 안보리에서 천안함 침몰 원인과 관련한 설명회를 개최하려는 데 중국대표부 측이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고 10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밝혔습니다.
이와 관련해 유엔 한국대표부의 외교 관리는 중국 측이 설명회 개최를 반대한다는 지적은 사실이 아니지만 중국 관리가 천안함 관련 설명회에 참석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면서 한국 정부로서는 중국을 비롯한 안보리 이사국 전부가 설명회에 참석하길 원하지만 특정 국가가 참여하길 꺼린다면 참석을 강요할 순 없다고 말했습니다.
유엔 주재 미국대표부 관계자는 10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오는 14일에 안보리에서 천안함 관련 비공식 설명회가 개최될 가능성이 있다고만 알고 있다면서 아직 정확한 회의의 형식과 일정은 확정되지 않았으며 중국이 이를 반대하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알지 못한다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천안함 침몰 원인에 대한 자체 조사단을 한국에 파견했던 러시아는 다음 달에나 조사 결과를 밝힐 수 있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져 천안함 사건과 관련해 유엔 안보리의 신속하고 강력한 대북 대응을 이끌어내겠다는 한국의 계획에 차질이 생길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