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전, 현직 대통령은 조만간 직접 만나 자세한 방북 내용에 관해 대화를 나눌 예정입니다.
노정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을 방문했던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이 지난 5일 전화로 백악관에 방북 내용을 보고했다고 로버트 기브스 백악관 대변인이 6일 밝혔습니다.
기브스 대변인은 이날 정례 기자회견에서 클린턴 전 대통령이 백악관의 국가안보회의(NSC)에 방북 내용을 보고했으며 앞으로 수일에 걸쳐(next several days) 추가적인 내용을 보고하게 된다고 말했습니다. 클린턴 전 대통령은 북한을 방문하기 전에도 국가안보회의 측과 방북에 관해 계속 논의했습니다.
기브스 대변인은 5일 아침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클린턴 전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하고 조만간 만나 방북 내용에 관해 대화를 나눌 의사를 밝혔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언제 만나는지 정확한 일자는 확정되지 않았다고 덧붙였습니다. 따라서 클린턴 전 대통령은 국가안보회의와 별개로 오바마 대통령에게 따로 보고함으로써 이른바 두 가지 채널(two track)로 방북 내용을 보고하게 된다고 기브스 대변인은 말했습니다.
기브스 대변인은 클린턴 전 대통령이 국가안보회의 측에 어떤 내용을 보고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클린턴 전 대통령이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핵 문제에 관한 기본 입장에 관해 대화를 나눴을 것이라며 말을 아꼈습니다.
Robert Gibbs: I can only imagine that, given his history on this issue...자세한 보고 내용은 알 수 없지만 아마도 클린턴 전 대통령이 북한에 핵무기를 포기하고, 이전에 합의했던 의무를 준수하라고 말했을 겁니다. 또 핵무기를 갖는 것은 국제적 위상을 가져오는 게 아니라 더 고립될 뿐이라는 점을 설득했으리라 봅니다.
기브스 대변인은 또 여기자의 석방과 핵문제는 별개라며 클린턴 전 대통령의 방북 전이나 후에도 북한이 핵무기를 포기하고 협상장에 돌아와 합의의 의무를 이행해야 한다는 미국 정부의 입장은 변함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는 계속 추진돼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여기자의 석방을 위해 북한을 전격 방문한 클린턴 전 대통령은 3시간 넘게 김 위원장을 만나 북핵 문제를 포함해 미국과 북한 간의 현안에 관해 대화를 나눴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미국 국무부도 이날 클린턴 전 대통령과 오바마 대통령의 회동 일정에 대해 아는 바 없다며 여기자 석방에 많은 도움을 준 평양 주재 스웨덴 대사관 측에 감사의 뜻을 표했습니다.
또 여기자들의 공식 기자회견에 관한 일정도 잡히지 않았다고 국무부 측은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