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평양 23층 아파트 붕괴 사고가 난지 두 달여 가까이 지났는데요. 북한이 최근 남한 내 민간단체에 재난구호 작업을 요청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남한의 통일부는 민간단체의 방북 승인과 관련해 이번 주중으로 결정을 내릴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 5월 13일 평양 평천구역에서 건설중이던 23층 아파트가 무너졌습니다.
400여 명 이상의 사상자를 낸 이번 아파트 붕괴 사고는 텔레비전을 통해 순식간에 전 세계에 퍼져 나갔습니다.
사고 직후 북한 당국은 사고 수습을 위해 안간힘을 썼던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그런 과정에서 남한 민간단체에도 도움을 요청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북측은 지난달 9일 군부대 건설 업체인 ‘붉은별 건설총국’을 내세워 남측의 민간 구조단체인 ‘한국구조연합회’에 재난구호 작업에 필요한 인력과 장비를 보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요청 당시 아파트 사고 현장은 어느 정도 정리가 이뤄진 상황이었기 때문에 북측은 특히 방역활동에 초점을 맞춰 소독기 등에 대한 지원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같은 사실은 지난 7일 통일부 정례회견에서도 언급됐습니다.
통일부는 “북측의 구조작업 요청이 있었다 하더라도 여전히 의문점이 많다”면서 한국구조연합회 구조단의 방북을 유보했습니다.
김의도 통일부 대변인 : 상식적으로 생각했을 북한이 이미 주변 정리라든지 이런 것이 다 끝났다고 하는 상황에서, 그리고 북한 측에서 초청장을 보내온 '붉은별 건설총국'이라는 단체는 그동안 남북관계에서 한 번도 이런 단체가 우리한테 초청장을 보내거나 그런 적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확인도 필요하고 이렇기 때문에…
한국구조연합회 측은 이에 대해 “통일부가 한 달 가량 방북 승인을 해주지 않아 지금까지 평양으로 구조작업을 하러 가지 못했다”고 불만을 토로했습니다.
통일부는 구조단 본대를 파견하기에 앞서 현장 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선발대를 먼저 보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선발대’의 방북 승인 여부는 이번 주 내로 결정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한국구조연합회의 구조단 파견이 순조롭게 이뤄질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