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의회가 유엔 산하기관의 대북 컴퓨터 지원과 관련해 즉각 조사에 나서겠다고 밝혔습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하원 외교위원회는 9일 유엔 산하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가 북한과 이란에 컴퓨터와 관련 기술을 제공한 의혹에 대해 조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일리애나 로스-레티넌(공화, 플로리다) 하원 외교위원장은 이날 성명을 통해 유엔 산하기구가 북한과 이란에 민감한 기술을 제공한 점은 매우 충격적으로 철저히 조사돼야 한다면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그는 북한과 이란을 불량배(thugs)라고 부르면서 이 두 나라가 군사목적으로 전용 가능한 민감한 기술을 제공받아 위험한 목적을 이룰 수도 있다며 이번 사안이 처벌없이 그냥 간과돼선 안 된다고 덧붙였습니다.
세계지적재산권기구는 지난해 말부터 올 해 초까지 유엔개발계획 베이징 사무소를 통해 북한에 미국 휴렛팩커드 컴퓨터와 관련 기술 장비 5만2천 달러 어치를 제공한 의혹을 받고 있습니다.
유엔의 강력한 경제제재 대상국인 북한에 대한 미국산 컴퓨터와 관련 장비 제공은 미국 국내법은 물론 유엔결의 위반으로 미국 의회를 중심으로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돼 왔습니다.
하워드 버먼 하원 외교위 민주당 간사도 지난 달 27일 열린 법사위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한 상무부 고위 관리에게 이번 사안을 따져 물었습니다.
버먼 의원: 말할 필요없이 매우 우려스러운 데요, 유엔 결의와 미국법을 위반했을 가능성뿐 아니라 미국 발명가들이 낸 돈으로 주로 운영되는 유엔 기구가 북한과 이란에 기술을 제공했다는 점 때문입니다. 조사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습니까?
하원 외교위 민주 공화 양당 지도부가 한 목소리로 유엔 산하기구의 대북 컴퓨터 관련 장비와 기술 지원에 우려와 진상 조사를 요구하고 나선 겁니다.
앞서 미국 국무부도 지난 5일 세계지적재산권기구의 대북 지원을 전면 조사중이라고 밝혔습니다.
국무부는 특히 이번 조사와 별도로 향후 유엔의 대북 개발지원 사업 때 대북제재 결의 위반 여부를 사전에 검토하는 등 재발 방지책 마련에도 나설 계획이라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