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무차별 단속에 주민들 격앙

0:00 / 0:00
북한 신의주항 인근에서 북측 병사들이 배를 검색하고 있다.
북한 신의주항 인근에서 북측 병사들이 배를 검색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YNA)

앵커 : 북한당국이 길거리에서 무차별적인 단속을 벌여 주민들을 노동현장에 강제로 내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도로 곳곳에 포진한 '규찰대'가 사소한 규정위반자들도 무조건 단속하고 있다고 소식통들은 전했습니다. 북한 내부소식 김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노동당 창건 70돌을 맞이하면서 수많은 건설공사를 벌여놓은 북한이 심각한 노동력 부족에 허덕이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모자라는 인력보충을 위해 무차별적인 길거리 단속을 일삼고 있어 주민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고 소식통들은 지적했습니다.

23일 함경북도의 한 소식통은 “길거리 곳곳에 ‘규찰대’가 배치돼 오가는 주민들을 마구잡이로 단속하고 있다”며 “무직자와 초상휘장(배지)을 달지 않은 사람, 특히 쫑대바지(착 달라붙는 바지)와 염색머리를 한 주민들이 주된 단속대상”이라고 밝혔습니다.

일단 ‘규찰대’는 노년층 위반자일 경우 현장에서 조서를 작성하고 1시간정도 길거리에 세워두는 체벌로 끝내지만 젊은 층이 단속에 걸릴 경우 무조건 ‘어랑천발전소’ 제2단계 공사장에 보내 7일간의 무보수 강제노동을 시킨다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특히 무직자인 경우에는 단속에 걸리면 최고 6개월까지의 ‘노동단련대’ 형을 받고 제일 힘든 건설장들에 동원돼야 한다며 “사실상 ‘규찰대’의 단속에 걸리기만 하면 흠이 잡히지 않을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라고 소식통은 이야기했습니다.

이와 관련 함경북도의 또 다른 소식통은 “이번 단속은 ‘태양절(4/15)’과 ‘건군절(4/25)’을 맞으면서 정해진 ‘특별경비기간’에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며 “청진시의 경우에만 보통 하루 천명이 넘는 사람들이 단속되고 있다”고 26일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그러나 이 소식통은 ‘특별단속기간’이 지나도 ‘규찰대’의 단속은 여전히 계속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규찰대’의 단속목적이 ‘특별단속’ 그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각종 건설장에 당장 모자라는 노력을 보충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라고 소식통은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특별단속’에 나선 ‘규찰대’는 기존부터 활동해온 청년동맹산하 ‘노동자규찰대’와 ‘인민보안부 순찰대’ 그리고 새로 조직된 여성동맹의 ‘옷차림규찰대’인데 이들은 ‘인민보안부 순찰대’와 합동으로 주민들을 통제하고 있다고 소식통은 덧붙였습니다.

그러나 소식통들은 “매일 한둘도 아니고 부녀자들까지 포함해 수많은 사람들이 건설장에 끌려간다”며 “무리한 건설을 마구 벌려 놓고 ‘규찰대’까지 동원해 노동력을 보충하는 중앙의 처사에 주민들이 매우 격해있다”고 현지의 분위기를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