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화폐개혁' 소문에 돈 가치 급락

0:00 / 0:00

앵커 : 북한주민들 속에서 '새경제관리체계' 시행의 한 단계로 또다시 화폐교환(개혁)이 있을 것이라는 미확인 정보가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 당국의 외화사용 단속이 주민들의 북한화폐에 대한 불신을 가중시키고 있다고 현지 소식통들이 주장했습니다.

자세한 소식 문성휘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 11월 중순, 불법외화사용자들을 처벌 할 데 대한 당국의 지시가 내리고 ‘외화단속 그루빠(그룹)’까지 조직되자 북한의 모든 장마당들에서 오히려 중국인민폐와 달러의 가치가 일제히 상승했습니다.

중국인민폐 1위안 대 북한 돈 1천3백 원이던 환율은 며칠사이에 인민폐 1위안 대 북한 돈 1천4백 원 선을 넘어섰습니다. 이렇게 주민들이 외화단속에 예민한 반응을 보이는 것은 화폐교환(개혁)이 또 있을지도 모른다는 불안감 때문이라고 복수의 북한 내부 소식통들이 밝혔습니다.

최근 연락이 닿은 함경북도 소식통은 “얼마 전에 있었던 외화검열로 하여 주민들이 큰 혼란을 겪었다”며 “외화검열이 시작되면서 곧 화폐교환이 있을 것이라는 말들이 크게 번지게 됐다”고 밝혔습니다.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주민들 속에서는 이미 지난 6월 말,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의 ‘새경제관리체계’ 발표를 근거로 화폐교환이 또 있을 것이라는 소문이 널리 펴져있는 상태라는 것입니다.

이와 관련 양강도의 소식통도 “일반 주민들은 물론, 간부들조차도 ‘지금의 화폐를 가지고는 새경제관리체계를 시행하기 어렵다’는 말들을 내놓고 하는 분위기”라며 “새경제관리체계 시행을 위해 또다시 화폐교환이 있을 것이라는데 많은 주민들이 동의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런 사정으로 인해 주민들이 화폐와 관련해서 극도로 예민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며 “형편이 이런데도 위에서는 주민들의 불안감을 달래주기는 고사하고 ‘외화검열’을 시작해 오히려 불안감만 조성하고 있다”고 노골적인 불만을 드러냈습니다.

한편 소식통들은 “새경제관리체계 시행을 위해 화폐교환을 할 것이라는 얘기들이 계속 확산되고 있음에도 중앙에서 별다른 대책을 내놓지 않는다”며 “그러한 소문이 무차별적으로 확산되면서 우리(북한) 돈의 기치는 계속 하락하고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그러면서 “지금처럼 주민들이 예민해진 때엔 외화단속을 하면 할수록 우리 돈의 가치가 하락하기 마련”이라며 “중앙에서 무조건 외화단속이나 하려들지 말고 주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실질적인 경제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