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중국에 출장차 나온 북한 인사들이나 중국에 거주하는 북한사람들 중 일부가 김정은 제1비서가 탈북자에 대한 포용정책을 펼 것이라는 말을 암암리에 흘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같은 말을 하게 된 배경과 그 진정성에 대한 의혹을 거두기 어렵다는 지적입니다.
중국에서 김준호 특파원이 전합니다.
최근 중국의 한 조선족 인사는 중국을 방문한 북한 국방위원회 소속 간부로부터 직접 들었다면서 “북한의 김정은 제1비서가 앞으로 탈북자들에 대해 파격적인 포용정책을 펼 것”이라고 자유아시아 방송(RFA)에 밝혔습니다.
그가 북한 인사로부터 들은 얘기는 “탈북을 했다가 다시 귀환한 사람들에게는 탈북에 대한 어떤 책임도 묻지 않을 것이며 탈북자 가족들에 대해서도 지금까지와 달리 연좌해서 불이익을 주지 않을 방침”이라는 것입니다.
이런 사실을 밝힌 조선족 인사는 “좀처럼 북한 내부사정에 관해 얘기를 하지 않는 북한 관료들이 매우 민감한 탈북자 이야기를 묻지도 않았는데 먼저 했다는 사실에 유념해야 한다”며 “그 의도와 배경이 궁금하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내가 남한 사람들과 자주 만난다는 사실을 잘 아는 그가 내게 이런 말을 한 것은 한국 사람들에게 전해주라는 말처럼 들렸다”며 “탈북자에 대한 포용정책이 입소문으로 중국 내 탈북자들과 한국에 정착한 탈북자들의 귀에도 들어가게 하려는 노림 수인지 모르겠다”고 풀이했습니다.
중국 내 또 다른 대북 소식통은 “중국에 주재하고 있는 북한의 한 무역대표가 김정은 동지가 앞으로는 탈북자에 대해 아량을 베푸는 정책을 펼칠 것이라는 말을 하기에 무슨 뚱딴지같은 소린가 하고 그냥 흘려들었다”고 말했습니다. 김정은이 북한의 최고 통치자로 군림하면서 예전보다 더욱 탈북자 단속을 강화해온 점을 감안하면 이 같은 말이 황당하게 들렸다는 얘깁니다.
북한은 작년 8월 북-중 국경연선을 중심으로 소위 폭풍군단 검열을 벌려 탈북자가 나온 세대를 색출해 산간 오지로 추방하는 조취(조치)를 취하는 한편 국경을 더욱 엄격하게 통제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북한 당국이 탈북자에 대한 포용정책 운운하는 것은 또 다른 속임수의 하나일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입니다.
남한에 정착한 한 탈북자는 “이는 탈북자의 귀환을 유도해서 제2, 제3의 박인숙을 만들어내기 위한 북한당국의 술수일 것”이라며 “탈북자들이 이런 말을 믿을 사람이 있겠느냐”고 반문했습니다.
또 다른 탈북자는 “탈북자 가족에 대한 오지추방을 중단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본다”면서 “탈북자 가족에 대한 연좌제를 잠시 중단함으로써 아직 드러나지 않은 탈북자 가족들이 긴장을 풀게 한 다음 본격적으로 색출해내기 위한 음모일 수도 있다”고 주장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