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북 주민 자유의사에 따라 처리”

0:00 / 0:00

MC:

북한 당국이 최근 서해상을 통해 남측으로 귀순한 주민 9명에 대해 송환해 줄 것을 남측 당국에 강력히 요구했지만, 한국 정부는 “자유의사에 따라 처리하겠다”며 송환할 뜻이 없음을 내비쳤습니다.

남북 간의 긴장 상태가 또 다시 고조될 전망입니다.

자세한 소식,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 보도합니다.

한국은 북한의 귀순자 송환 요구에 대해 17일 오전 대한적십자사 명의의 통지문을 통해 “북한 주민의 자유의사에 따라 처리할 것”이라는 내용의 통지문을 보냈습니다.

사실상 거부 의사를 밝힌 겁니다.

통일부 천해성 대변인입니다.


천해성:

북한 주민들은 합동심문기관의 조사가 끝난 뒤 자유의사에 따라 처리될 예정입니다.

전날 북한은 조선적십자사의 명의를 빌어 “이들의 송환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남북 관계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한국 정부를 강하게 비난했습니다.

한국 정부가 이번에 송환할 뜻이 없음을 내비친 만큼 남북 관계는 또 다시 악화를 피할 수 없게 됐습니다.

천해성 대변인입니다.

천해성:

(북한은) 이들에 대해 또 다시 귀순 의사니 뭐니 하면서 돌려보내지 않을 경우 남북관계에 더욱 악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언급하였습니다.

북한 주민 9명은 현재 관계기관에서 조사 중에 있습니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에 의하면 이들은 지난 11일 새벽 6시 쯤 전마선 2척을 통해 서해북방한계선(NLL)으로 넘어왔고, 한국군에 인도될 당시부터 귀순의사를 밝혔습니다.

귀순자들은 성인 남자 3명과 성인 여자 2명, 그리고 아동 4명으로 황해도 내륙지역에 거주하던 형제의 가족으로 전해졌습니다.

서해상을 통한 북한 주민의 이 같은 남하는 지난 2월에도 발생했습니다.

서해북방한계선에서 표류하던 주민 31명이 연평도 부근을 통해 넘어왔습니다.

당시 귀순의사를 밝힌 4명을 제외한 27명은 본인들의 자유의사에 따라 북한으로 돌아갔습니다.

2004년 이후 북한 선박이 남측으로 넘어온 사례는 모두 31건.

이 중 연평도를 비롯한 서해5도를 통해 남측으로 넘어온 것은 모두 16건입니다.

황해도 인근 서해상이 북한 주민의 집단 탈출 경로로 떠오르고 있는 겁니다.

북한민주화위원회 박광일 실장입니다.

박광일:

이 분들은 단순 귀순이 아니라, 오래전부터 치밀하게 준비했을 것 같고요. 아마도 북쪽에서부터 군인 등 누군가가 이들의 탈출을 도왔을 것으로 봅니다.

남측의 연평도는 북측 해안으로부터 거리가 12km에 불과합니다.

이번 북한 주민들의 귀순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동력이 없는 전마선으로도 얼마든지 북한을 탈출할 수 있는 거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