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공안, 고액 외화소지 주민색출 혈안

0:00 / 0:00

MC

: 북한 당국이 최근 공안기관들을 총동원해 외화를 뭉칫돈으로 소지한 주민색출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대대적인 외화단속의 서막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옵니다.

중국에서 김준호 특파원이 전합니다.

최근 중국을 방문한 평안북도 주민 고 모 씨는 “보위부, 보안부는 물론 군인들을 단속하는 경무관(남한의 헌병)들까지 나서서 열차나 써비차(노선버스) 승객들을 불심검문해 외화를 많이 소지한 사람들을 색출하고 있다”고 자유아시아 방송(RFA)에 전했습니다.

고 씨는 “불심검문에서 미화 1천 달러 또는 중국 인민폐 1만 위안 정도가 나오면 이유를 불문하고 연행해 돈의 출처를 캔다”고 말했습니다. 연행된 뒤 돈의 출처를 분명히 밝히지 못하면 돈을 몰수하는 것은 물론 조사를 확대한다고 고 씨는 덧붙였습니다.

특히, 이런 불심검문은 북-중 국경지역에서 내륙으로 운행하는 열차나 써비차를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북한 신의주 주민 조 모 씨는 최근 신의주에서 평양으로 가는 6열차를 탔다가 보안원들이 한 여성을 추궁하는 장면을 직접 보았다고 말합니다. 조씨는 “보안원들이 달려들어 돈의 출처를 대라고 여자를 윽박지르고 있었다”고 전했습니다.

조 씨는 또 “신의주에서 희천으로 가는 134 열차에서도 단속이 매우 심하다는 소식을 들었다”고 말했습니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요즘 외화를 소지하고 있다 걸리면 가차 없이 회수당하고 한 방에 죽는다는 소문이 신의주 전역에 파다하다”고 조 씨는 전했습니다.

대북 소식통들은 이런 외화단속이 체제 단속의 일환이라고 분석합니다. 특히, 탈북자들이 북의 가족에게 송금하는 것을 차단하려는 목적도 있다고 주장합니다.

사업상 평양을 자주 방문하는 중국의 조선족 김 모 씨는 “탈북자 단속에 열을 올리고 있는 북한 당국이 탈북자들이 가족들에게 보내는 송금을 차단하고 동시에 그들과 소통하는 주민들을 색출해 내기 위해 이런 단속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주민들은 이번 단속이 장마당에까지 확대될 것인지 우려하고 있습니다.

북한에서 살다가 중국에 정착한 화교 장 모 씨는 “지금은 장마당 빗자루 장사까지도 중국 위안화나 달러로 물건 값을 받을 정도로 조선 돈이 북데기 취급당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런 상황이 북한 체제에는 위협적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런 위기의식으로 인해 대대적인 외화 단속의 회오리가 장마당에까지 몰아치지 않을까 주민들은 걱정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