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이 지난 5월부터 평양시와 평안남도, 량강도를 비롯한 전국 일대에서 전체 주민들을 대상으로 종합검진을 실시하고 있다고 북한을 왕래하고 있는 한 중국동포가 19일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북한 보건당국은 현재 진행하는 종합 검진을 주민들의 건강 확인을 위한 검진이라고 하지만, 실제로 검사를 맡은 병원 의사들의 말에 의하면 마약중독자를 가려내기 위한 검사인 것으로 파악된다고 이 소식통은 말했습니다.
“종합검진을 하면서 마약을 사용한 사람들을 마지막 한 사람까지 모두 종합검진을 하게 되어있는데, 거주지 담당 의사들은 여행을 간 사람들을 여행지까지 찾아가서 한다고 합니다. 그 의사가 말하는데 기본 목적은 마약 중독자들을 등록을 한다고 합니다.”
북한 보건성의 지시에 따라 지난 5월부터 양강도 제1인민병원에서는 도내 주민들의 혈액검사와 소변 검사 등 종합검진을 실시하기 시작했다고 이 중국 소식통은 전했습니다.
그러나, 병원에 출입할 수 없는 여행자들과 산간 오지, 섬마을 주민들의 경우엔 해당 관할 병원들이 직접 ‘이동 치료대’라는 의료단을 구성해 주민들을 찾아다니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북한 보건 당국은 이번 검사 과정에서 적발된 마약 중독자들을 간염요양소나, 결핵요양소 같은 별도 시설에서 외부와 격리시켜 놓고 따로 수용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북한이 마약 중독자 격리 시설을 따로 설치하는 것은 그만큼 마약이 북한 사회에 깊게 파고들었기 때문입니다.
량강도 혜산시 제1인민병원에서 지금까지 적발된 마약 중독자는 2천명에 달하며 그 가운데는 권력기관 간부들과 무역기관 종사자들이 대거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국경지역에 마약 중독자가 많은 이유는 중국을 통해 마약 밀거래가 가능한 지역이기 때문이라고 혜산시가 고향인 한 탈북자는 말했습니다.
“아편은 함경북도나 량강도 일대에서 많이 심는데, 함흥 평성 같은데다 내다가 다시 만들어서 그걸 도로 팔아먹자니까 국경지역으로 가는 거죠.”
간부들 속에 마약 중독자가 많은 이유도 마약밀거래자들을 통제하는 국경 보위원들과 보안원들이 마약을 뇌물로 받기 때문에 남용이 수월하다고 이 탈북자는 말했습니다.
북한은 마약 중독자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는 한편, 마약 밀거래자들을 엄하게 처벌하고 있습니다.
지난 8월 8일 양강도 혜산시 혜강 소학교 운동장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마약 밀매자 2명에 대한 공개재판이 진행했다고 대북인권단체인 ‘성통만사’ 가 최근 밝혔습니다.
이 공개재판에서는 지금까지 마약 42kg을 밀매한 주범에게 9년 노동교화형을 내렸다고 이 단체는 소개했습니다.
한편, 북한 국가안전보위부는 마약을 체제를 붕괴시킬 수 있는 위험요소로 보고 2008년 6월부터 큰 마약 사건이나 사범들을 직접 정치적 사건으로 취급하기 시작했다고 남한의 대북인권단체인 ‘좋은 벗들’도 최근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