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에 입국하는 탈북자의 증가와 함께 탈북 청소년의 숫자도 매년 증가하고 있습니다.
교육과학기술부의 통계에 따르면 6~20세의 탈북 청소년이 1997년에 13명에 불과하던 것이 2000년에 60명을 기록했고, 2004년에는 330명, 2008년 378명으로 급증했습니다.
2009년 현재 한국의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등 정규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탈북 청소년들은 1천143명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탈북 청소년들은 사회문화적 환경의 차이로 학교 부적응 문제가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지난해 학교를 중도에서 그만둔 탈북 청소년은 재학생 966명 중 59명에 달해 한국의 일반 학생들의 탈락률보다 6배나 높았습니다.
이에 따라 교육과학기술부는 13일 탈북 청소년 교육지원을 위해 획기적인 지원 방안을 내놨습니다.
이상진 교육과학기술부 교육복지국장입니다.
“탈북 주민에 대한 대책은 기본적으로 여러 정부부처가 협조하는 체계로 되어 있습니다만, 교육지원, 특히 청소년에 대한 교육은 우리 교과부에서 추진하는 사업이 상당히 많고 오늘 보고 드리는 것은 주로 우리 교과부 사업이 되겠습니다.”
교육과학기술부가 밝힌 2008~2010년 탈북 청소년 교육지원 예산은 2008년에 8억 원에서 올해는 30억 원으로 증액된 데 이어 내년에는 45억 원으로 늘어날 예정입니다.
이같은 탈북 청소년 교육지원 방안은 대략 3단계로 추진하고 있다고 이예진 교육복지정책과 담당자는 말합니다.
“저의가 크게 세가지 방향으로 보고 있는데 탈북해서 처음에 국내에 입국하는 경우에 3개월 정도 초기 적응교육을 받는 기간이 있는데 그 기간 동안에 좀 체계적인 교육을 받고 학교로 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하나원에서 교육하고 있는 그런 교육과정이나 교재개발 부분을 지원하고 거기에서 필요한 현장교사의 지원요청을 받아서 교사들을 파견하는 방법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우선 초기단계로 탈북자 정착지원 시설인 하나원 안에 있는 청소년 교육지원을 확대하고, 두 번째 단계로 한국 내 초, 중, 고교에서 뒤떨어지는 탈북 학생들을 위해 학생, 교사, 학부모의 역량을 강화할 예정입니다.
세 번째로는 대안학교 설립인가 제한을 대폭 완화하는 방법을 통해 민간인 교육시설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성적이 떨어지는 탈북 청소년들을 위해 교사와 학생이 1대1로 만나 진행하는 과외교습과 문화체험 등 특별프로그램을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이와 함께 탈북 청소년들이 재능에 따라 한국의 일반 특수 영재학교에 편입학 할 수 있는 기회도 부여하고, 우수한 탈북 청소년 양성을 위해 ‘탈북청소년 리더십 프로그램’도 운영할 예정입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탈북 청소년들을 교육할 수 있는 전문교사를 발굴하기 위해 관련 분야를 전공하는 대학생, 대학원생들에게 학비를 지원해서 졸업후 탈북 교사로 채용하는 한편, 전문직 출신 탈북자들도 재교육하여 적극 활용할 방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