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전기사정 악화...평양도 하루 3~4 시간만 공급

고질적인 북한의 전기 사정이 공화국 창건기념일인 9.9절 이후에 더욱 나빠졌다고 평양에 거주하는 장 씨 성을 가진 화교가 자유아시아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밝혔습니다.

호텔이나 고위간부들이 거주하는 지역을 제외하고 일반 서민들이 사는 지역엔 전기소비량이 적은, 밤11시 이후에나 3~4시간 정도 전기를 공급할 정도로 전기 사정이 나빠졌고 그나마도 전압이 불규칙해서 가정용 전기제품을 손상시키는 경우도 많이 발생 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장 씨는 말했습니다.

그는 북한 당국에서 자랑하는 평양의 "불 장식"장면을 9.9절 이후엔 한 번도 볼 수 없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같은 전기 부족난으로 당국에서는 전기 소모가 많은 전기밥솥이나 전기장판 등의 사용을 금지하고 단속을 하고 있으며 몰래 사용하다가 적발될 때는 해당제품을 압수하는 것은 물론 벌금도 물리고 있다고 장씨는 말했습니다.

평양 같은 대도시의 주민들 중, 전기제품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들은 당국에 신고를 하면 제재를 당할 것이 두렵고, 또 신고를 하지 않았다가 나중에 적발되면 물건을 빼앗기는 건 물론, 벌금까지 물어야 하니,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장 씨는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열악한 전기 사정에도 불구하고 북한 당국은 남측 민간 단체에 충전식 조명기 지원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익명 보도를 요청한 남한의 기독교 단체 관계자는 조명기를 북한에 공급하기 위해 중국산 충전식 조명기를 구입하려 했지만 가격이 개당 50달라가 넘어 완제품 지원을 하기 어려운 실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고가의 완제품 대신에 반제품을 북한으로 들여다가 남한의 기술자들이 완제품으로 조립해 공급하는 방식을 북한 당국에 제안했지만 북한 측은 거부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북한 측에서 이 같은 남한의 민간 대북 지원단체의 제의를 거부하는 이유는 이 지원단체가 기독교 단체이기 때문에 조명기 조립을 빙자해 북한 내에서 선교 활동을 할 것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이 관계자는 전했습니다.

이 남한 기독교 단체는 당초 연간 5만개의 충전식 조명기구를 북한에 공급할 계획이었지만 북한 측과 협상이 지연되는 사이에 공급하려던 조명기 값이 크게 오르고, 달러 환율도 올라, 자금 부담이 가중되는 바람에 2만개 정도만 지원할 예정이라는 것이 이 관계자의 설명입니다.

한편 북한의 전기 사정은 북한 핵문제에 관한 6자회담에서 합의된 에너지 지원 대가로 미국을 비롯한 회담 당사국들로부터 발전용 중유를 받은 당시에도 별로 호전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는 공급받은 중유가 발전용이 아닌 다른 용도로 사용됐기 때문일 수도 있다고 중국과 북한을 오가는 대북 소식통들은 말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