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보위부, 전자우편 철저 검열

0:00 / 0:00

외부와의 정보교류를 철저히 통제하고 있는 북한에서도 극히 제한적이지만 ‘전자우편(이메일)’을 주고 받을 수 있는 계층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이들 특권층들도 보안당국의 철저한 사전검열과 통제하에 외부와 전자우편을 교환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중국에서 김준호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중국에서 북한과 무역을 하거나 다른 목적으로 북한사람들과 전자우편(이메일)으로 소통하는 사람들은 단어는 물론 토씨 하나까지도 매우 신중하게 작성하고 있습니다.

외부세계에서 보내는 전자우편 내용을 북한 보안당국이 먼저 검열하기 때문에 내용이 조금이라도 불경스럽거나 오해 받을 소지가 있으면 그 후과가 고스란히 북한측 대방에게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북한과 무역을 하는 중국 선양의 조선족 박 모 씨는 ”북한의 대방과 가끔 이 메일을 주고 받는다”면서 “내가 보내는 내용 중에 혹시 북한당국의 비위를 거슬리는 것이 없는지 면밀히 살핀 후에 보낸다”고 말했습니다.

박씨는 “북한대방이 쓸데없는 내용은 쓰지 말아달라고 부탁도 해왔고 그게 아니더라도 조선의 체제를 잘 알기 때문에 문구 하나 하나에 신중을 기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박 씨는 또 “북한사람들과 전자우편으로 소통하려면 북한의 대방이 외부인사의 이메일 주소를 보안당국에 등록하고 승인을 얻어내야 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북한과 교역하고 있는 또 다른 중국대방은 “만약 등록되지 않은 외부 인사가 북한사람들에 이 메일을 발송 하면 수신이 차단되며 북한 내에서 등록되지 않은 외부인사에 이메일을 발송할 경우에도 역시 차단된다는 얘기를 북한 대방에게서 들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또 “사업관련 문건을 보낼 때 이메일을 이용하면 편할 텐데 반드시 팩스로 보내 달라고 요청한다”며 “아직도 이런 식이니 답답하다”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지난해 10월 중국 단둥에서 열린 북-중 박람회 때 북한전시관을 둘러봤다는 조선족 사업가 이 모 씨는 ”상품을 전시해 놓은 부스에 들러 상담을 하면서 팜플렛에 적혀 있는 이메일 주소로 연락하면 되느냐고 물어 봤더니 그것은 곤란하고 내 연락처를 주면 자기들이 먼저 연락하겠다는 반응을 보였다”고 말했습니다.

이씨는 “팜플렛에 이메일 주소가 있는데도 전자우편의 사용을 꺼리고 팩스연락을 고집하는 것은 당국의 전자우편에 대한 통제가 극심하기 때문이라는 느낌을 받았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