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 당국이 최근 개인들의 수공업 실태에 대한 집중조사에 나섰다고 현지 소식통들이 전해왔습니다. 개인수공업을 보다 효과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라고 하지만 주민들은 돈을 뜯어내기 위한 기만행위라고 비난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서울에서 문성휘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새해에 들어서 북한 당국이 장마당 이외의 개인 수공업품 장사행위를 집중 조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개인수공업을 국가생산체계에 등록시켜 합법화 한다는 명분을 내걸었는데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다고 여러 현지 소식통들이 밝혔습니다.
최근 연락이 닿은 양강도의 소식통은 “동사무소에서 매 가정세대들마다 돌며 어떤 장사를 해 생계를 유지하는 지를 구체적으로 조사하고 있다”며 “장마당에 직접 나와 앉아서 하는 장사와 가정집들에서 하는 장사를 구분해서 조사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러한 조사 목적과 관련해 동사무소들에서는 개인수공업을 보다 효과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중앙의 조치라고 설명하고 있다고 소식통은 강조했습니다.
한편 함경북도의 한 대학생소식통은 “지난 12월 말, 평양에서 각 도당 책임비서들과 인민위원장들, 내각 주요간부들의 회의가 있었다”며 “회의에서 개인수공업자들에 대한 문제가 중요하게 논의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회의에 참가한 내각간부들은 개인수공업자들의 장사행위로 인한 공장기업소들의 피해를 막을 대책을 요구했고 이에 맞서 도당책임비서들은 당장 개인수공업을 단속하기 어렵기 때문에 차라리 개인수공업을 합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소식통은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소식통은 개인수공업자들이란 주로 공장 노동자들이 훔쳐 내온 원료와 자재들을 이용해 가내수공업으로 생필품을 만들어 파는 사람들인데 신발이나 담배와 같은 경우, 그 품질이 오히려 공장제품을 능가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따라서 공장기업소들의 막대한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개인수공업자들을 통제해야 한다고 소식통은 덧붙였습니다.
이와 관련 또 다른 함경북도의 소식통은 “개인수공업이라는 개념 자체가 몹시 애매한 것인데 도대체 무엇을 없앤단 말인가?”라며 “개인수공업을 단속할 것이 아니라 국가생산체계에 배속시키고 적당한 이익금을 받는 것이 옳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사실상 개인들이 생계를 위해 하는 모든 생산 활동을 개인수공업이라고 봐야 하는데 이를 모두 단속할 경우 상상하기도 어려운 큰 혼란이 빚어질 것이라며 개인수공업자들의 생산 활동을 중단시킬 경우 그들을 누가 먹여 살리겠냐고 반문했습니다.
소식통들은 북한에서 개인들이 수공업적으로 생산하는 상품들에 대해 가구류 일체에서부터 신발, 비누, 옷, 지어 자전거 다이야(타이어)까지 없는 것이 없다며 최근엔 컴퓨터를 이용해 외국 상표들을 모방한 상품들이 대거 나오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개인수공업을 조사한다는 소식을 놓고 주민들은 “개인수공업을 단속하자는 쪽이나 국가생산체계에 편입시키자는 쪽도 다 인민을 위해 그러는 게 아니다”며 “서로가 제 배부터 불리겠다는 밥그릇 싸움에 불과하다”며 비난하고 있다고 소식통들은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