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긴장 고조] 서해 5도 조업 피해 우려

한국이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PSI)에 전면 참여하자 북한은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무력화하려는 의도를 다시 드러냈습니다. 이 때문에 서해 5도 어민의 경제적 피해가 우려되고 있습니다.

0:00 / 0:00

서울의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군 판문점 대표부는 27일 성명을 내고 북방한계선 NLL에 인접한 서해 5도의 "법적 지위"와 주변 수역의 함선과 일반 선박의 "안전 항해"를 보장할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한국의 PSI 참여에 따른 북측의 반발로 전문가들은 풀이했습니다.

북한이 이처럼 서해에서 긴장을 높이는 가운데, 백령도나 연평도 같은 서해 5도로 향하는 여객선은 이날도 평소와 마찬가지로 운항했습니다. 청해진해운의 장성훈 대리입니다.

장성훈: 현재로는 일정 변화는 없고요. 정상적으로 8시에 출항하고 있습니다.

서해 5도 어민들도 정상 조업하고 있습니다. 북한군 판문점대표부의 협박성 성명이 있고 나서도 한국 정부의 주의 사항 전달이나 특별 지시는 없었다고 서해 5도 주민들은 말합니다. 꽃게잡이가 한창인 연평도의 김재식 어민회장입니다.

김재식: 아직은 없었어요. 모르겠어요. 내일 아침에는 통제소에서 어떤 말이 있을지 모르겠지만. 아직은 그런 사항은 없어요.

하지만 서해 5도 어민들은 북측의 위협적인 발언을 주시하고 있습니다. “현재도 꽃게가 제대로 잡히지 않아 경제적으로 타격을 입고 있는데, 만약 북한이 도발적인 행동을 한다면 조업에 지장이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라고 김 회장은 설명합니다.

김재식: 보도를 통해서 듣고 있는데요. 만약에 그렇게 된다면, 사실상 우리 어민만 힘들어지거든요. 우리도 북한의 보도를 아주 유심히 관찰하면서 조업에 임하려 합니다.

이날 북한군 판문점 대표부는 NLL 무력화를 시도하는 발언 말고도, 한국의 PSI 전면 참여는 북한에 대한 “선전포고”이며 북한이 더는 정전협정의 구속을 당하지 않게 됐다고 선언했습니다.

북한의 이 같은 성명이 나오자 한국의 이명박 대통령은 “관련 부처가 냉철하게 대응하라”고 지시했습니다. 한국의 합동참모본부는 “만일 북한이 도발할 땐 단호하게 대응할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한국 정부는 또 PSI가 북한을 겨냥하지 않았고 남북해운합의서로 한국 영해에서 북한 선박을 검색할 수 있기 때문에 전면적인 PSI 참여는 정전협정 위반이 아니라는 입장을 보였습니다.